환경부장관이 대구 취수원의 구미공단 상류 이전에 부정적인 견해를 밝히면서 대구시에 비상이 결렸다. 대구를 제외한 경북도와 구미시도 환경부 입장에 동조하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대구시만 고립될 위기에 처했다.
29일 대구시 등에 따르면 지난 26일 열린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환경부 업무보고 자리에서 강효상 자유한국당 국회의원(비례·대구 달서병 당협위원장)의 취수원 이전 관련 질의에 김은경 환경부장관은 “대구시 취수장을 구미시로 이전하는 것은 합리성에 문제가 있다고 본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낙동강 전체를 살리기 위해서는 폐수 방수량을 없애든지 폐수무방류시스템으로 전환하는 등의 방법이 바람직하다”며 “취수원을 이전한다면 구미시보다 더 많은 폐수를 방류하는 대구시 하류에 있는 부산·경남의 물 문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이어 “물산업클러스터 유치 등 물산업 기술을 선도적으로 개발하겠다는 대구시가 물을 제대로 정수해서 쓰는 기술의 개발을 외면하고 취수원을 이전한다는 것은 모순”이라고 덧붙였다.
환경부의 부정적 입장이 알려지자 대구시는 반발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환경부가 이야기하는 폐수무방류시스템 등으로는 가시적인 효과를 보기 어렵다”며 “대구시민들이 안심하고 수돗물을 마실 수 있는 가장 빠른 현실적인 대안은 취수원 이전뿐”이라고 밝혔다.
구미시는 환경부와 입장을 같이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27일 장세용 구미시장을 면담하고 온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수돗물 대구시민대책회의’ 관계자는 “낙동강 수질과 관련해서 구미시장은 환경부 입장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며 “구미시나 환경부 모두 과불화화합물이나 구미공단 유해물질 문제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 것 같다”고 말했다. 대책회의는 취수원 이전 문제에는 관여하지 않고 구미공단 유해물질 대책을 구미시에 요구하는 활동을 하고 있는 단체다.
구미시 외에 경북도도 취수원 이전에 앞서 폐수무방류시스템 구축 등이 필요하다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대구 취수장 이전 물 건너가나?
입력 2018-07-29 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