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석·박사 과정 학생에 매달 100만원 지급

입력 2018-07-26 18:10 수정 2018-07-26 21:39
문승현 광주과학기술원 총장과 학생 대표 정희원씨(가운데 서류 들고 있는 이들) 등이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 참석하기 전 청년과학기술인의 다짐을 외치고 있다. 이병주 기자

문재인 대통령은 26일 “우수한 청년인재들이 과학기술자, 또는 혁신창업가로 진로를 정하고 도전할 수 있도록 제도적인 지원방안을 고려해 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청와대에서 열린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 참석해 “지금 우리는 새로운 성장동력을 발굴하거나 기존 성과에 머물거나 하는 갈림길에 서 있다”며 “성공의 길은 연구·개발(R&D)에 있다. 보다 근본적이고 통합적인 R&D 시스템의 개편이 필요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회의에서 실패가 용인되는 연구환경 조성도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 평가와 예산 배정에 유리한 단기 성과에 집중하는 정부 R&D 과제가 많다”며 “긴 호흡의 연구환경을 만들고 혁신적인 연구수행이 가능하도록 지원체계를 개편해 달라”고 강조했다. 이어 “국민의 삶이 나아지는 과학기술이 되도록 노력해 달라”고 덧붙였다. 이날 회의는 문 대통령의 최근 혁신성장 행보의 연장선으로 해석된다.

정부는 회의에서 대학 연구인력 처우개선 방안을 심의·확정했다. 정부는 향후 이공계 석사·박사과정 학생연구원들이 연구에 전념할 수 있게 매달 기본생활비(100만원)를 지급하기로 했다. 연구 실적이 좋으면 추가로 월 45만원을 더 제공한다. 올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시범운영한 뒤 내년부터 과기정통부 산하 과학기술특성화대 학생연구원으로 수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현재 과기특성화대 학생연구원 수는 1만명 수준이다. 지금까지는 연구실별, 연구과제 수에 따라 매달 받는 돈이 달랐지만 앞으로는 기본생활비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됐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