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오스에서 건설 중이던 수력발전용 댐이 집중호우를 견디지 못해 대규모 수해가 발생했다. 수백명이 사망·실종됐고 수천명이 삶의 터전을 잃었다. 강풍을 동반한 폭우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돼 피해는 더 커질 수 있다. 국제사회의 도움이 절실하게 필요한 터에 정부가 긴급구호대 파견 등 강력한 구호 대책을 마련키로 했다. 당연히 그래야 한다. 이 댐은 한국 기업이 건설하고 있었다. 책임소재를 떠나 국가와 기업의 신인도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이다. 이런 사정이 아니어도 인도주의 차원에서 지원에 적극 나서야 할 일이었다. 충분한 자원을 투입해 사고 수습과 피해 복구에 총력을 기울이기 바란다.
사고 원인을 놓고 논란이 빚어진 상황은 납득하기 어렵다. 현지 당국은 댐이 붕괴했다고 밝힌 반면 공사에 참여한 SK건설은 범람한 거라고 주장했다. 이후 물을 막아두던 흙댐 일부가 범람 과정에서 유실됐다고 덧붙였다. 이런 논란은 건설사 측에서 책임을 피하려 한다는 인상을 주고 있다. 원인과 과정이 어찌됐든 공사를 맡은 기업은 대규모 인명피해가 발생한 참사로부터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 문재인 대통령도 “사고 원인을 알아보는 상황이지만 우리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만큼 정부가 나서야 한다”고 했다. 책임 논란을 떠나 복구에 매달려야 할 때다. 비극적 재난의 중심에 선 기업이 사태를 수습하고 신뢰를 회복하는 길은 책임의 지분보다 몇 배 많은 자원과 노력을 투입해 피해 회복을 돕는 것뿐이다.
정부는 신북방정책과 신남방정책을 내세워 통상외교 다변화를 추진하고 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 갈등 구조에서 불가피한 선택이다. 베트남을 비롯한 동남아 시장은 우리 기업이 미래를 위해 투자해야 할 대상이 됐고, 참사를 부른 댐은 이 지역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동남아 배터리’ 프로젝트의 일환이었다. 사태는 이미 벌어졌다. 수습하는 과정이 한국과 우리 기업에 대한 현지의 인식을 좌우할 것이다.
[사설] 라오스 수해 수습에 한국 신뢰도 걸려 있다
입력 2018-07-26 04: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