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군산·대구·구미에도 ‘광주형 일자리’ 접목 추진

입력 2018-07-25 18:16 수정 2018-07-25 22:37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청와대 본관에서 해리 해리스 신임 주한 미국대사로부터 신임장(외교사절의 파견 취지를 알리는 문서)을 받고 악수하고 있다. 이병주 기자

청와대가 ‘광주형 일자리’ 모델을 군산·대구·구미 지역까지 확대 추진한다. 정태호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임명된 지 한 달 만에 본격적인 현장 행보를 시작했다. 악화된 고용지표를 개선하고, 하반기 경제 난국을 정면 돌파하겠다는 청와대의 의지로 해석된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25일 “경북 구미와 대구, 전북 군산 등에서 광주와 비슷한 일자리 모델을 도입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광주형 일자리는 노동계와 재계, 사회단체 등이 합심해 지역 일자리를 늘리는 게 골자다. 근로자의 임금은 기존 자동차 회사 생산직보다 낮지만 광주시가 주택·육아 서비스 등을 근로자에게 제공한다. 청와대는 이르면 8월부터 광주형 일자리 모델이 가동될 것으로 보고 있다.

청와대는 현장 목소리 듣기에도 착수했다. 정 수석은 지난 24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기흥모터스 본사를 방문했다. 기흥모터스는 바이크를 생산하는 할리데이비슨의 국내 판매사다. 초등학교 입학 자녀를 둔 여성 직원에게 두 달간 특별휴가를 지급하는 등 각종 출산 장려책을 통해 고용노동부가 주관하는 ‘일자리 으뜸기업’에 선정된 회사다.

정 수석은 기흥모터스 경영진을 40여분간 만나 출산과 임신, 육아와 관련한 사내 복지 혜택 등을 청취했다. 25일에는 경기도 성남 판교에 위치한 스타트업 기업도 방문했다. 청와대는 이를 통해 각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지원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