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율주행 중 조향 장치에 문제가 생겨도 운전자가 핸들을 안정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이 국내에서 처음 개발됐다.
현대모비스는 어떤 상황에서도 정상적인 조향 상태를 유지해 운전자 안전을 보장하는 첨단 전동식 조향 장치 개발에 성공했다고 25일 밝혔다.
이 기술은 주요 전자 부품을 모두 이중으로 설계해 두 개의 전자회로를 활용하도록 한 게 핵심이다. 장치에 오류가 생겨도 자동차 스스로 고장 여부를 판단해 핸들을 제어하고 운전자가 안정적으로 자율주행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대모비스는 이를 위해 전동식 조향 장치에서 사람의 두뇌 역할을 하는 전자제어장치(ECU)를 소형화했다. 소형 전자소자를 적용해 같은 기능을 하면서도 크기는 절반으로 줄였다.
아울러 소프트웨어 역량을 활용해 고속 통신 등을 통해 상대방을 감시하고 정상 작동 여부를 판단하는 시스템을 개발했다.
현대모비스는 이번 기술 개발로 자율주행에 필요한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는 기술 선도 회사로 위상을 강화하게 됐다. 현대모비스는 자율주행을 구현하는 핵심 기술인 레이더, 카메라 등 모든 센서를 2020년까지 독자 개발한다는 기술 로드맵을 마련했다.
이번에 개발한 신기술은 연말까지 실제 도로에서 테스트하는 등 신뢰성 평가를 마치고 2020년 양산하는 게 목표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운전자 조작 없이 스스로 운행하는 자율주행 환경에서 조향 장치의 정상 작동은 승객 안전과 직결되는 필수 사항”이라면서 “이번에 개발한 신기술은 자율주행차에 최적화된 것으로 세계에서 아직 양산 사례가 없다”고 설명했다.
임세정 기자 fish813@kmib.co.kr
현대모비스, 자율차 조향 안전성 높인 장치 개발
입력 2018-07-25 18: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