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회찬 정의당 의원이 투신 사망했다. 우리 사회에서 그나마 좋은 평판을 받던 괜찮은 정치인 한 명을 잃었다는 점에서 충격과 안타까움을 금할 수 없다. 노 의원은 드루킹의 측근이자 자신과 고교 동창인 도모 변호사로부터 총선을 앞둔 2016년 3월 불법 정치후원금 5000만원을 받은 의혹을 받았다. 드루킹의 인터넷 카페 ‘경제적 공진화 모임’(경공모)으로부터 2000만원의 강의료를 받은 의혹도 있다. 그러나 이들 의혹이 설령 사실이라 하더라도 극단적인 선택을 하지 말았어야 했다. 어느 누구든, 어떤 잘못을 저질렀든 소중한 목숨을 스스로 끊어서는 안 된다. 더구나 그는 유서에서 드루킹 사건과 관련해 금전을 받은 사실은 있으나 청탁과는 관련이 없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잘못된 선택을 하기보다 진실을 밝히고 이해와 용서를 구했으면 좋았을 것이다.
노 의원은 세비 절반 감축, 특수활동비 폐지 등 국회의 특권 폐지를 앞장서서 외쳐 온 정치인이다. 그가 속한 정의당은 최근 지지율이 10%를 넘어섰다. 노 의원과 정의당에게 이번 의혹은 엄청난 부담으로 작용했을 것이다. 깨끗하고 정의로운 이미지에 큰 상처를 입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사람은 누구나 죄를 짓고 실수를 한다. 완벽한 사람은 아무도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자신의 잘못이나 실수를 인정하고 진심으로 뉘우치면 용서받을 수 있는 길이 있기 때문이다. 새로운 미래를 향해 나아가는 과정에서 과거의 상처도 회복되기 마련이다.
노 의원의 사망으로 드루킹 사건을 수사 중인 특검팀이 곤혹스러운 처지가 됐다. 하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오히려 수사에 박차를 가해 진실을 밝혀야 한다. 무엇보다 댓글 조작이 지난해 대선을 전후해 광범위하게 이뤄졌는지 여부를 밝히는 것이 핵심이다. 여론을 왜곡하고 조작하는 것은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중대한 범죄다. 김경수 경남도지사, 송인배 청와대 정무비서관 등의 드루킹 연루 의혹도 철저히 규명해야 한다. 그동안의 경찰과 검찰 수사가 살아 있는 권력에 대해서는 대충 넘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특검 수사는 그러지 말아야 한다. 댓글 조작 등에 비하면 노 의원의 금품수수 문제는 곁가지에 불과하다.
[사설] 충격적인 노회찬 의원의 투신 사망
입력 2018-07-24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