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가, 관세 부과 손실 추산 ‘제각각’…“실물경제 파급효과는 미미” 대세

입력 2018-07-19 18:43 수정 2018-07-19 21:47

미국과 중국의 ‘무역 실랑이’가 언제 ‘무역전쟁’으로 비화하는 것일까? 답변은 누구한테 묻느냐에 따라 다르다. “이미 발발했다”며 전면전을 불사하고 나선 중국이나 미국 정부가 언급하는 무역전쟁은 정치적이고 광범위한 용어일 수도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명확한 정의가 내려진 것도 없는데 소위 전문가들이 이 용어를 섣불리 입에 올려 투자자들만 혼란스러워진다고 미국 월가의 시각을 19일 전했다. 무역전쟁은 1980년대 존 코니베어라는 정치학자가 학문적 차원에서 연구하기는 했다. 하지만 월가에서 이를 속 시원하게 설명할 수 있는 애널리스트는 드물다. 답변도 제각각이다.

글로벌 금융회사 UBS의 애널리스트들은 무역전쟁에 대해 “중국과 미국이 상대국 수입품에 30%의 관세를 매기는 상황”이라고 답했다. 반면 다국적 금융서비스 기업 웰스파고의 분석팀은 “전쟁이라는 표현을 쓰려면 관세율을 50% 이상 매겨야 한다”고 더 엄격한 기준을 제시한다. BNP파리바의 자산관리팀장 브라이언 카터는 “고객에게 이 문제와 관련한 서한을 보낼 때 곤혹스럽다”면서 “10년 전 화폐전쟁이 있었던 것처럼 긴축발작, 무역전쟁같이 항상 드라마틱한 용어가 등장한다고 설명할 뿐”이라고 말했다.

게다가 무역전쟁이 실물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기존 경제모형으로 예측할 수 없는 현상이라는 점에서 분석가는 물론 대비책을 세워야 하는 당국자들도 당혹감을 표시한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JP모건은 최근 펴낸 경제연구 노트에서 관세 부과에 따른 국내총생산(GDP) 손실을 추산한 결과 미국이 중국에 25%의 자동차 관세를 부과한다 해도 미국 소비자와 생산자의 손실은 GDP의 0.1%, 중국은 GDP의 0.2% 수준으로 미미하게 나온다고 밝혔다. 골드만삭스도 340억 달러 상당의 보복관세 부과 시 실질관세율이 1% 포인트 상승하지만 미국의 GDP는 0.02% 줄어들 뿐이라고 분석했다. 관세 부과 규모를 4000억 달러로 확대하더라도 GDP는 0.1% 줄어드는 데 그친다.

이런 결과는 경제모형을 이용해 무역전쟁이 미칠 파장을 추정한 것과 시장 참여자들이 느끼는 ‘위험 수위’ 사이에 큰 차이가 있음을 보여준다. 국제금융센터는 “현재로서는 금융시장 모니터링과 함께 실물 부문에서 미·중 무역갈등으로 기업 심리가 나빠져 설비투자 저해로 이어지는 것이 아닌지를 확인하는 게 최선”이라고 진단했다.

이동훈 선임기자 dh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