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물류업체들이 포장 원가 절감에 열을 올리고 있다. 포장 크기와 중량을 줄이게 되면 재고 줄이기에 일조할 뿐만 아니라 전체적인 재고비용이 감소돼 원가절감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에 복합소재 개발 기술과 경량 신소재 성형 및 접합 기술 등 물류 최적화를 위해 공을 들이는 모양새다.
업계에 따르면 탄소복합섬유 등 첨단 신소재를 기반으로 한 물류자원 경량화가 물류시설 비용과 운영비를 줄일 수 있는 중요 기술로 각광받고 있다. ‘리서치 앤드 마켓(Research and Markets)’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고분자·나노복합재료(탄소 나노 튜브, 금속 산화물, 나노 섬유, 나노 클레이) 시장은 2015년부터 연평균 성장률 21∼23%로 빠르게 성장 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러한 첨단 소재가 물류장비와 용기에 적용되면 물류비 개선에 많은 효과가 있을 것으로 업계는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강도는 강해지고 경량화가 가능한 신소재를 통해 전체적인 물류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춰 자동차 부품 산업에 있어서도 포장 소재는 변화하고 있다. 기존의 골판지 등 종이 상자에서 고정식 회수용(Returnable) 플라스틱 상자로 진화했다. 여기서 더 나아가 현대글로비스는 물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접철식 플라스틱 박스를 개발, 2013년 3월부터 KD사업에 도입했다.
접철식 플라스틱 박스는 기존 고정식 플라스틱 박스와 달리 펴고 접을 수 있으며 두께가 40㎜에 불과해 접었을 때 부피가 5분의 1로 줄어든다. 이에 회수 물류비용을 연간 최대 44%까지 줄일 수 있다.
또 폴리 카보네이트로 만들어져 극한의 사용조건에서도 안전하게 부품을 보호한다. 단위 용적당 15㎏, 박스당 수직 300㎏의 적재 하중을 견딜 수 있으며 섭씨 40도 이상 고온에서도 거뜬하다. 이와 함께 접철식 플라스틱 박스는 생산라인에 투입할 때 해체할 필요가 없어 인건비와 불량률 감소, 투입 소요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현대글로비스 관계자는 “자동차 한 대에 들어가는 부품 종류는 2만여개에 달해 이를 담는 박스는 KD사업에서 매우 중요하다. 접철식 플라스틱 박스는 안전성, 친환경성, 효율성 측면에서 우수하다”며 “접철식 플라스틱 박스가 물류업계 포장기술의 변화를 이끌고 있다”고 말했다.배성은 쿠키뉴스 기자
차 부품업 포장재 끊임없는 진화
입력 2018-07-22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