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이 사용 중인 리코더 10개 중 9개의 위생상태가 불량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한국소비자원은 초등학생이 음악수업에 사용한 리코더 93개의 위생 실태를 조사한 결과, 86개(92.5%)에서 ‘일반세균’이 최대 2억 CFU(세균 세는 단위)가 검출됐다고 18일 밝혔다. 이는 대형할인마트 카트손잡이(2만460CFU)에서 검출된 양보다 약 312배 많은 수준이다. 또 6개(6.5%)에서는 ‘대장균군’이 최대 3600만 CFU가 나왔다. 이는 공용기저귀교환대(20CFU)보다 약 32만배나 많은 양이다. 리코더 11개(11.8%)에서는 식중독의 원인이 되는 ‘황색포도상구균’이 최대 19만 CFU가 검출됐다.
소비자원 관계자는 리코더와 같은 플라스틱 재질 악기는 흐르는 물에 세척하는 것만으로도 일반세균이 98.6% 줄고, 세제로 세척할 경우 100% 제거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악기의 케이스도 문제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기술표준원이 시중에 유통 중인 악기 17개(리코더 6개, 멜로디언 6개, 단소 5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2개 제품(멜로디언 1개, 단소 1개)의 케이스에서 중추신경 장애를 유발하는 ‘납’이 기준치 대비 3.5배, 간·신장 등의 손상을 유발하는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기준치 대비 최대 138.7배 초과 검출됐다.
김혜림 선임기자
“초등생 사용 리코더 10개 중 9개 위생 불량”
입력 2018-07-18 18: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