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구 수돗물 사태로 한바탕 난리를 치르면서 대구 취수원의 낙동강 상류 이전 논의에 다시 불이 붙었다. 대구시는 이번에는 성과를 내겠다는 각오다.
대구시는 맑은 물 확보 등을 논의할 ‘대구 미래비전 2030위원회’ 안에 ‘맑은 물 태스크포스’를 조직해 취수원 낙동강 상류 이전을 포함한 안전한 수돗물 확보 방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대구시의회도 특별위원회를 구성해 해결방안을 찾기로 했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신임 구미시장과 이 문제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겠다며 취수원 이전에 의지를 보이고 있다. 이달 말 낙동강 지역 물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경남 창원에서 열릴 예정인 환경부 낙동강유역환경청 주관 영남권 5개 광역단체장 회동에서도 이 문제를 적극적으로 알린다는 계획이다. 권 시장은 지난 14일 대구를 방문한 이낙연 국무총리에게도 대구 취수원 이전 문제를 해결할 정부 주도 공동협의체 구성을 건의했다.
하지만 10여년 동안 해결하지 못한 문제를 단번에 해결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대구 취수원 이전 논의는 2009년부터 시작됐다. 대구시는 그동안 발생한 낙동강 오염 사태 원인 대부분이 구미공단이었기 때문에 취수원을 매곡·문산 정수장에서 상류쪽으로 56㎞ 떨어진 구미 해평 취수장으로 옮기기를 원했다. 해평 취수장은 구미공단에서 20㎞ 상류에 있다.
그러나 그동안 구미시와 구미지역 시민단체 등은 대구 취수원 상류 이전에 난색을 표명해 왔다. 대구 취수원을 이전하면 낙동강 수질 악화와 수량 부족, 재산권 침해 등의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대구시와 구미시는 지난해부터 지금까지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6차례 실무협의회를 열었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 대구시와 구미시가 교수와 지역 정치인, 시민단체 관계자 등으로 구성해 2015년부터 운영한 민관협의회도 별다른 성과를 내지 못했다.
최근 사태로 다시 주목을 받기는 했지만 여전히 취수원 이전은 난제다. 구미시장이 바뀌면서 이전과 다른 양상을 기대했지만 이번엔 구미지역 국회의원들이 반발하고 있다. 홍의락 더불어민주당 의원(대구 북구을)이 최근 “정치권이 만나 허심탄회하게 취수원 이전 문제를 논의해야 한다”고 제안했지만 장석춘 자유한국당 의원(구미을)과 백승주 한국당 의원(구미갑)은 대구시가 일방적이라고 비판하며 취수원 이전에 부정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낙동강 수질 문제에 접근하는 방법론에 대한 이견도 있다. 일부 시민단체는 구미 취수원을 옮기는 것이 능사가 아니고 낙동강 수질 전체를 관리하는 노력이 선행돼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대구=최일영 기자
[And 지역 리포트] 대구 취수원, 낙동강 상류 이전 논의 다시 후끈
입력 2018-07-18 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