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 찜질방… ‘폭염과 전쟁’

입력 2018-07-16 21:40
서울지역에 올해 첫 폭염경보가 내려진 16일 서울시청 폭염종합지원상황실에서 직원들이 폭염 현황을 점검하고 있다. 아래쪽 사진은 대구시가 폭염 대책의 일환으로 동대구역 인근 버스정류장에 설치한 쿨링포그 시스템 아래를 시민들이 지나고 있는 모습. 뉴시스, 대구시 제공

전국적으로 찜통더위가 기승을 부리면서 지방자치단체들이 폭염 대책 마련에 구슬땀을 흘리고 있다. 산업체들 또한 직원의 건강 유지를 위해 다양한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로 불리는 대구는 최근 낮 최고기온이 37도를 넘는 등 연일 35도 이상의 폭염에 시달리고 있다. 며칠째 열대야가 이어지면서 시민들의 고통은 더 가중되고 있다. 15일 주차된 화물차량에서 더위 때문으로 추정되는 화재가 발생하고 도로가 파손되는 사고도 일어났다. 앞서 14일에는 지역 한 백화점에서 무더위 때문에 스프링클러가 오작동돼 물이 뿜어져 나오는 일도 있었다.

극심한 무더위가 이어지자 대구시는 들끓는 도심을 진정시키기 위해 다양한 대책을 시행 중이다. 16일 대구시에 따르면 동대구역 광장에 폭염 대비 시설을 설치해 시민들이 무더위를 피할 수 있도록 했다. 광장 내 각종 시설물과 버스정류장에 쿨링포그(물안개 분사) 시스템을 설치했고 광장 주변 횡단보도에는 온도에 따라 자동으로 펴지고 접히는 스마트 그늘막을 설치했다. 오는 9월까지 무더위를 피할 수 있는 이동식 텐트도 설치·운영한다.

대구시는 이 밖에도 노숙인과 쪽방촌 주민의 폭염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특별 보호대책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소방안전본부는 시내 8개 소방서 49개 구급대를 폭염구급대로 지정하고 모든 구급차에 얼음조끼와 얼음팩, 생리식염수 등을 비치했다.

서울시는 폭염종합지원상황실을 가동해 노숙인과 홀몸어르신, 쪽방촌 등 폭염 취약계층을 보호하고 시설물 피해예방에 대한 안전조치와 구급활동에 나선다. 경북도도 2개 반 11명으로 태스크포스(TF)를 운영하고 관련 부서와 유관기관, 23개 시·군과 폭염 관련 정보를 공유한다. 대전시도 폭염 대응 종합대책을 가동하고 있다. 다른 지자체도 폭염 관리 조직을 운영하며 도로에 물 뿌리기, 취약계층 보호 등에 나서고 있다.

산업체도 비상이 걸렸다. 울산의 자동차와 조선, 석유화학 등 주요 제조업체들은 근로자 건강관리를 위해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고 있다.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은 다음 달 31일까지를 혹서기로 정하고 낮 12시부터 오후 1시까지였던 점심시간을 오후 1시30분까지 30분 연장했다. 한화케미칼은 고열에 따른 사고 예방을 위해 팀별로 1∼3대씩 총 18대의 제빙기를 설치했다. 현대차 울산공장과 LS니꼬동제련, S-OIL 등은 삼계탕 등 하절기 보양식과 빙과류, 이온음료 등을 제공하고 있다.

지역 축산업 종사자들도 가축 보호를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가축들이 더위에 쓰러지는 불상사를 막기 위해 축사에 대형 그늘막과 선풍기 등을 설치했다. 대구시 관계자는 “올해 폭염이 일찍 시작되고 기간도 길 것으로 예상돼 더위 대책에 더욱 신경 쓰고 있다”고 말했다.

대구·울산=최일영 조원일 기자, 전국종합 mc10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