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지역의 최대 노른자 땅인 대한방직 전주공장 부지 개발에 대한 논의가 본격 시작됐다. 대한방직 부지 개발 문제는 지난 6·13 지방선거에서 쟁점으로 떠오른 데 이어 전주시가 조만간 공론화하기로 해 큰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주시는 이르면 다음 달 말 시민공론화위원회(가칭)의 첫 회의를 가질 것이라고 11일 밝혔다. 전주시는 이 위원회의 운영 규정을 마련했다며 곧 위원 위촉을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시는 사안의 중요성에 맞춰 각계 전문가와 단체를 포함시켜 50명 규모의 위원회를 구성할 계획이다. 위원회에서 다뤄질 핵심 사항은 ‘용도 변경 작업’을 비롯해 ‘인근 교통난 해소 방안’ ‘㈜자광의 개발이익금 상환 방법’ 등 20가지가 넘는다.
대한방직 전주공장은 1975년 대한방직이 전주시 효자동 일대에 지은 것으로 부지 면적만 21만6400여㎡에 이른다. 당시엔 시 외곽이었지만 2002년 전주시의 신시가지 개발로 인근에 전북도청과 지방경찰청·KBS전주방송총국 등이 들어서고 대규모 아파트까지 들어서며 금싸라기 땅으로 변했다.
현재 공업지역이지만 상업·주거지역으로 용도가 변경돼 각종 개발 행위가 이어질 경우 큰 수익을 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곳이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자칫 특혜 시비가 일 우려가 크다.
지난해 11월 이 부지를 1980억원에 사들인 부동산 개발회사 ㈜자광은 이곳에 143층 규모의 타워와 350실 규모 호텔, 3000가구 규모의 공동주택, 국제규격 컨벤션 등을 짓는 복합개발 계획을 구상중이다.
그러나 일부 단체 등은 “여러 문제가 있다. 공론화를 서두르지 말라”고 촉구했다. 사회단체인 전주시민회는 최근 성명을 내고 “자본금이 10억원에 불과한 회사가 2조5000억원대의 사업을 추진하겠다는데 매매 잔금에 대한 연대보증을 롯데건설이 선 것을 보면 실제 사업 주체가 롯데라는 의혹이 짙다”며 “10월 매매 잔금이 지급된 이후에 공론화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종엽 전주시 생태도시국장은 “서두르는 것이 아니냐는 일부 의견이 있지만 논의 필요성이 있어 여는 것이고 미뤄야 할 이유도, 서두를 이유도 없다”며 “특혜 의혹을 최대한 불식하기 위해 공론화위원회를 공정하고 투명하게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
전주 대한방직 터 개발 논의 본격화
입력 2018-07-11 19: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