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훈풍에 1·3군 통합 지작사 창설 연기될 듯

입력 2018-07-08 18:37 수정 2018-07-08 22:18
국방부는 육군의 제1·3야전군사령부를 통합한 지상작전사령부(지작사)를 오는 10월 창설하는 방안을 재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최근 북·미 비핵화 협상 등 한반도 안보 상황 변화에 맞춰 창설 시점을 내년 초로 늦출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군 관계자는 8일 “지작사 창설 시점은 국방개혁으로 추진되는 군 구조개편 차원에서 다시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작사 창설 시점은 최근 송영무 국방장관의 지시로 재검토되고 있으며 아직 확정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10월 1일 국군의날에 지작사를 공식 출범시키는 방안이 추진됐었다.

지작사는 북한의 비핵화 진전과 남북관계 개선 상황 등을 감안해 창설 시점이 연기될 것으로 예상된다. 군사적 대치 상황이 변화하는 와중에 대규모 군 조직 개편을 단행하기가 부담스러울 수 있기 때문이다. 4·27 남북 정상회담에서 합의된 비무장지대(DMZ)의 실질적인 비무장화 등 남북 군 당국 간 신뢰구축 속도를 감안해 지작사 창설 시점이 정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지작사는 합참의장의 지휘를 받아 5개 지역군단과 1개 기동군단 등의 지상작전을 지휘하는 역할을 맡을 예정이다. 지작사 예하에 창설될 화력여단 2곳은 북한이 군사분계선(MDL) 인근에 집중 배치한 장사정포 진지를 파괴하는 임무를 맡게 된다. 지작사는 애초에 2010년 창설이 목표였다가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시점 등을 감안해 2012년으로 미뤄졌다. 이어 2015년으로 늦춰졌다가 다시 올해 하반기로 조정됐다. 지작사 청사는 경기도 용인에 건립돼 있는 상태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