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 당선자들의 임기가 1일 시작되면서 더불어민주당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지방선거에서 압승을 거두면서 대부분의 광역의회와 기초의회를 싹쓸이했지만 그만큼 경험이 일천한 초선 의원 비율이 높기 때문이다. 자칫 지방의회 초선 의원들이 부정부패에 연루되는 등 문제를 일으킬 경우 지역에서 역풍을 맞을 가능성이 크다. 이에 민주당은 지역별로 당선자 교육을 진행하고 부정부패 근절을 당부하는 등 ‘초선 고삐 죄기’에 나섰다.
선거 직후부터 당내에서는 지방의회 초선 의원들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정치 신인들이 지방의회에 진출해 다양한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게 됐다는 긍정적 측면 못지않게 능력이 검증되지 않아 ‘사고’를 칠 가능성도 작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한 지역구 국회의원은 “선거 이후 지방의회 초선 의원들을 만나봤는데 별다른 각오가 느껴지지 않아 크게 화를 낸 적이 있다”고 털어놨다. 또 다른 당 관계자도 “지방의회에서 정치 신인들이 많지만 솔직히 자질이 조금 부족한 당선자도 많은 것 같아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실제 선거 직후 모 지역에서는 30대 초선 시의원의 경력이 논란이 되기도 했다. 별다른 사회 경력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비례대표로 당선돼 지역사회에서 적절성 논란이 제기됐다.
특히 광역의회의 경우 초선 의원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 서울시의회 전체 110석 가운데 민주당이 102석을 차지했는데 이 가운데 77명이 초선이다. 경기도의회도 마찬가지다. 전체 142석 중 민주당이 135석이고 그 가운데 초선은 102명이다. 전남도의회도 전체 58석 가운데 민주당이 54석을 차지했고 초선이 37명이다.
이 때문에 민주당은 선거 이후 승리를 자축하기보다 당선자 교육에 집중하는 모습을 보였다. 시·도당별로 의회 개원을 앞두고 경험 많은 다선 지방의원이나 그 지역의 국회의원, 학자들을 초청해 행정감사·예산심의 등 의정활동 전반을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해 왔다. 경기도당위원장인 박광온 의원은 “(교육을 통해) 도민들이 눈살을 찌푸리지 않도록 사사로운 개입을 자제하고 공정하고 투명하게 임해 달라고 당부했다”고 말했다. 전남도당위원장인 이개호 의원도 “지방의원으로서의 역할과 본분에 대해 수시로 교육하고 있다”고 했다.
당 지도부도 지방의회 개원 전 당선자들을 불러 수차례 신중한 행보를 당부했다. 추미애 대표는 지난 28일 여성 당선인 워크숍에 참석해 “흔히 부정부패를 상대방의 이야기로 생각하는데 상대방의 들보보다 내 눈의 작은 티라도 없애겠다는 마음으로 시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민들의 신뢰를 잃거나 중앙당이 특별히 신경쓰지 않아도 될 의정활동을 해주기 바란다”는 당부도 했다. 지방선거에서 압승한 만큼 성실한 의정활동을 해 달라는 취지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
지방의원 임기 시작, 민주당 관계자 “자질 부족한 당선자도 많아 걱정”
입력 2018-07-02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