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운규 산업부 장관 “자동차에 ‘무역확장법 232조’ 적용 부당”

입력 2018-07-01 20:16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두 번째)이 28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 자동차무역정책위원회 회의실에서 맷 블런트 미국 자동차무역정책위원회(AAPC) 회장(오른쪽) 등을 만나 자동차 관련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 제공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국산을 비롯한 수입자동차에 고관세를 부과하기 위한 조사를 지시하면서 한국 자동차업계에 빨간불이 켜졌다. 이에 한국 정부는 미국 정·재계 인사들을 대상으로 아웃리치(대외 접촉) 활동에 나섰다.

산업통상자원부는 백운규 장관이 한국에 유리한 여론을 조성하기 위해 지난달 27∼29일 미국 워싱턴 DC에서 정·재계 유력 인사를 만나 232조 자동차 조사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1일 밝혔다. 백 장관은 에드 로이스 하원 외교위원장과 스테니 호이어 민주당 하원 원내총무 등에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통해 상호 호혜적인 교역 여건이 이뤄진 만큼 이번 조사에 대해 한국 내 우려가 크다는 점을 전했다. 특히 백 장관은 양국이 합의한 한·미 FTA 개정협상에서 자동차 분야에 대한 미국 우려를 반영했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백 장관은 현대·기아자동차가 진출한 조지아주(州)의 조니 아이잭슨 상원의원과 앨라배마 주의 테리 스웰 하원의원의 협조도 구했다. 특히 232조 발동에 영향을 미칠 포드와 제너럴모터스(GM), 피아트크라이슬러(FCA) 미국 3대 자동차 기업을 대표하는 자동차협회(AAPC)의 맷 블런트 회장도 만났다. 이 자리에서 백 장관은 232조 조치가 글로벌 공급망에 의존하는 미국 자동차 업계 경쟁력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또 미국 주요 기업 최고경영자를 대변하는 비즈니스라운드테이블(BRT)의 조슈아 볼튼 회장에게는 양국 신뢰관계 유지를 위해 이번 조치에서 한국이 제외될 수 있도록 우리 입장을 전달해 달라고 요청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