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많은 기업문화 개선 활동이 캠페인성 조치에 치우쳐 있어 우리 기업문화는 여전히 ‘청바지 입은 꼰대’에 머무르고 회의감만 커졌다.”
세계적인 경영 컨설팅 회사 맥킨지의 서제희 파트너는 27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회관에서 열린 ‘2018 기업문화 혁신 콘퍼런스’에서 국내 기업의 기업문화 혁신 시도에 대해 이같이 일갈했다. 서 파트너는 “최근 보텀업(Bottom-up·상향식) 혁신이 강조되면서 소통, 자율 등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지만 ‘변하자’는 주입식 캠페인 외에 구조, 리더십, 프로세스의 변화가 병행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지적했다. 그는 “원인과 해법을 관통하는 체계적 전략 없이는 혁신이 성공하기 어렵다”며 “기업문화는 여러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결정되는 만큼 총체적 변화 전략부터 수립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 파트너는 최근 8개 기업에 대한 기업문화 심층 진단 결과 캠페인성 활동 및 제도 개선을 통해 야근, 회의 등 일하는 방식의 개선 효과는 있었다고 평가했다. 하지만 기업의 지속적인 성장·생존에 중요한 근본적인 조직 건강도 개선을 위한 근본 원인 치유가 없었다고 진단했다. 또 매년 급격히 변화하는 환경 아래 기업의 전략이 흔들리고, 조직 구성원의 불안감이 가중돼 조직 건강도 점수는 오히려 낮아졌다고 지적했다.
서 파트너는 성공적인 조직 변화를 위해선 체계적인 문제 진단, 명확한 개선 목표와 조직원 공감, 전방위적이고 동시다발적인 변화, ‘작은 성공 만들기’ 등 4대 원칙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기업마다 문제와 원인이 다른 만큼 자사 특성에 맞는 개선 전략을 집요하게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주입식 기업문화 혁신으론 ‘청바지 입은 꼰대’ 못 벗어나”
입력 2018-06-27 19:02 수정 2018-06-27 22: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