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은 동해선·경의선 철도 현대화를 위해 공동연구조사단을 구성하고, 다음 달부터 경의선 북측 구간(개성∼신의주)에 대한 현지 공동조사를 시작하기로 합의했다. 이어 동해선 북측 구간(금강산∼두만강)에 대한 공동조사도 진행된다.
남북은 26일 판문점 남측 평화의집에서 열린 철도협력 분과회담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공동보도문을 발표했다.
이날 회담에는 김정렬 국토교통부 2차관을 수석대표로 이주태 통일부 국장, 손명수 국토부 철도국장 등 대표단 3명이 참석했다. 북측에선 김윤혁 철도성 부상을 단장으로 하는 대표단 3명이 자리했다. 남북이 철도 관련 논의를 하는 것은 2008년 1월 개성 남북경제협력협의사무소에서 열린 남북 철도협력분과위원회 제1차 회의 이후 약 10년 만이다.
양측은 공동보도문을 통해 “동해선·경의선 철도의 연결 및 현대화와 활용에서 제기되는 실천적 대책을 취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어 “판문점 선언에 따라 진행하는 동해선·경의선 철도 협력 문제가 민족경제의 균형적 발전과 공동번영을 이룩하는 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는 입장을 확인하고 앞으로 이 사업을 동시에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다만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를 고려해 구체적인 사업을 논의하기보다는 공동연구 등을 선행 사업 형태로 진행하기로 했다.
우선 남북은 북측 구간인 금강산∼두만강, 개성∼신의주에 대한 현지 공동조사를 이른 시일 내 진행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공동연구조사단을 구성하고 다음 달 24일 경의선부터 현지 공동조사에 들어가고 이어 동해선에서도 조사를 진행하기로 했다.
다음 달 중순 경의선 철도 연결구간(문산∼개성)과 동해선 철도 연결구간(제진∼금강산)에 대한 공동점검에도 나선다. 남북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역사 주변 공사와 신호·통신 개설 등 필요한 후속 조치도 추진키로 했다. 철도 현대화 설계, 공사방법 등 실무적 대책은 추후 협의키로 했다. 남북은 이번 회담에서 합의된 사항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제기되는 실무적인 문제를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문서교환 방식으로 계속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
남측 수석대표인 김 차관은 “제재가 풀리고 나면 추진할 수 있는 여러 사항에 대해 충분히 조사하고 연구하고 준비할 사항들이 많다”고 말했다.
북한과의 공동연구와는 별개로 우리 정부가 실행에 옮길 수 있는 것은 동해선의 남측 단절 구간인 동해북부선 강릉∼제진 104.6㎞를 연결하는 것이다. 포항∼삼척 구간(165.8㎞)은 2019년 완공을 앞두고 있고 울산∼부산 구간(72.1㎞)은 공사를 마쳤다. 강릉∼제진 구간을 이으면 북측 철도(800㎞)와 러시아 시베리아횡단철도(9297㎞)까지 연결할 수 있다. 참여정부 시절인 2007년 북측 금강산청년역에서 남측 제진역까지 선로가 연결됐지만 강릉∼제진은 선로가 없다.
국토부 관계자는 “선로를 깔려면 민간이 소유하고 있는 부지를 매입해야 하기 때문에 예산 확보부터 민간인 설득까지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말했다.
판문점=공동취재단,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남북, 내달 24일 경의선 북측 구간 공동조사한다
입력 2018-06-27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