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0㎿ 이상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 중장기적으로 조성해 수출 산업화

입력 2018-06-26 18:37 수정 2018-06-26 21:33

정부가 풍력산업 공급체계 구축,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 조성 등 해상풍력 발전사업의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6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해상풍력 산업화 전략 포럼’을 열고 지난해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에서 제시한 전체 신규 설비용량 48.7GW 중 12GW에 달하는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소개했다.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정부가 에너지 전환을 선언한 지 1년이 지난 시점”이라며 “풍력산업의 성공적 확산을 논의하고 에너지 전환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는 해상풍력 발전사업을 단계적으로 진행하기로 했다. 단기적으로는 중소 규모(500㎿ 이하) 해상풍력 발전소 보급과 트랙 레코드 확보, 풍력산업 공급체계 구축 및 조선·해양산업과의 융·복합 전략에 나서기로 했다. 중장기적으로는 대규모 부유식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하고 이를 동북아 슈퍼그리드와 연계하는 등의 전략을 바탕으로 수출 산업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해상풍력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해 ‘선(先) 풍력단지 조성, 후(後) 사업자 개발방식’을 도입, 사업 지연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제거해 민간투자가 활성화되도록 할 방침이다.

이날 포럼에선 지방자치단체 발굴·제안 사업에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가중치를 추가 부여하는 방안도 논의됐다. 이 경우 100㎿ 해상풍력단지를 운영하는 사업에서 매년 20억∼30억원의 수익이 지자체와 주민에게 돌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지자체도 계획입지 위주로 대규모 해상풍력 단지를 조성할 계획이다. 전북 군산 말도 인근 110㎿, 전남 영광 안마도 인근 220㎿, 경북 영덕군 인근 100㎿, 경남 통영 욕지도 인근 100㎿, 울산 동해가스전 주변 200㎿ 등이 해상풍력 발전사업에 나서기로 했다.

서윤경 기자 y27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