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종원 수석 임명 배경, 청 “우리 정부와 인연 없다 능력만 보고 발탁”

입력 2018-06-27 04:01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26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일부 수석과 비서관을 교체한 2기 청와대 인선을 발표하고 있다. 임 실장은 “앞으로 훨씬 더 광범위하게 소통하면서 속도감 있게 성과를 내려는 대통령의 의지가 반영된 인사”라고 설명했다. 이병주 기자

청와대 2기 개편은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경제적 성과를 내겠다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과감한 추진력을 갖춘 인사를 발탁하고, 측근을 전진 배치해 정책 실행력을 강화했다. 문재인정부 출범 2년차를 맞아 핵심 경제정책인 소득주도성장과 일자리 확대 정책에 ‘올인’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홍장표 전 청와대 경제수석은 문재인정부 핵심 경제정책인 소득주도성장의 근본인 임금주도 성장론에 정통한 학자다. 하지만 경제수석으로 근무하며 최저임금 인상과 실업률 고공행진 등 악화되는 경제 상황에 기민하게 대응하는 데 실패했다. 반장식 전 일자리수석 역시 정부 출범 이후 신설된 자리인 탓에 업무 수행을 위한 정부조직 장악에 어려움을 겪었다.

청와대는 26일 정통 경제관료인 윤종원 신임 경제수석과 대통령 측근인 정태호 일자리수석을 발탁해 두 자리를 채웠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정책의 성과를 국민이 피부로 더욱 느끼도록 성과를 속도감 있게 내자는 뜻으로 이뤄진 인사”라며 “정책에 속도를 내기 위한 개편이다. 늘 새로운 활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윤 수석은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과 각별한 사이는 아니다. 청와대 관계자는 “홍 전 수석이 지난 1년간 경제정책의 방향성을 잡는 데 적임자였다면 윤 수석은 경제정책의 과감한 실행에 필요한 사람이라는 내부 평가가 있었다”며 “기획재정부 근무 당시 업무 능력을 검토한 끝에 능력만 보고 발탁한 인사다. 현 정부 구성원과 별다른 인연은 없다”고 말했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도 “윤 수석이 경제 분야 국정과제의 지속적인 추진과 산업통상·금융·재정 등 다양한 현안을 통합·조율할 것으로 본다”며 기대감을 드러냈다.

정 수석 발탁은 높은 정책 이해도를 바탕으로 정무적 판단을 강화해 일자리 정책 실행력을 높이려는 취지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 수석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를 대신한 국정기획위원회에서 국정과제 전반을 기획하고, 일자리 분야 정책을 실질적으로 준비해 왔다”며 “현 정부 일자리 정책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하는 측면”이라고 설명했다. 경질설이 돌았던 장 실장에 대해서는 “원래 인사 여부에 대한 특별한 고려가 있지 않았다”며 교체설을 일축했다.

사회혁신수석을 시민사회수석으로 명칭을 변경한 것도 경제 분야를 비롯한 정책 전반에 대해 사회 각계의 협조를 구하려는 차원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시민사회수석실은 대통령이 사회와 소통하는 창”이라며 “종교계와 노동계, 직능단체 등과의 교류를 확대하기 위한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청와대 수석 인사가 이번 개편으로 마무리되면서 후속 비서관 인사도 이어질 전망이다. 여전히 공석인 제도개선비서관과 균형발전비서관에 더해 사의를 표명한 진성준 정무기획비서관과 정 수석의 이동으로 자리가 빈 정책기획비서관 인선이 필요하다. 이들 인사는 진행 중인 청와대 조직 개편 결과에 따라 이뤄질 전망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신임 수석들이 결정됐으니 보완할 부분은 보완하고, 교체가 필요한 비서관실 인사도 조만간 진행하겠다”며 “다만 조직적으로는 많은 개편을 생각하고 있지 않다”고 했다. 이어 “조직 개편으로 정책 기조 변경을 꾀하기보다 국민들이 피부로 느낄 수 있는 성과를 내기 위한 활력을 보강하자는 차원”이라고 덧붙였다. 개각에 대해서는 “문 대통령이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해 여러 경로로 의견을 듣고 있다”고 말했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