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부처에선 청와대 경제팀 쇄신에 ‘기대 반, 우려 반’이라는 반응을 보였다. 정통 경제 관료 출신인 윤종원 신임 경제수석 발탁으로 청와대와 부처 간 소통이 활발해질 것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26일 “윤 수석이 ‘불협화음’ 논란에 휩싸인 김동연 경제부총리와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 사이에서 중재자 역할을 해줄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기재부 관계자는 “윤 수석은 노무현정부 때 청와대 선임행정관으로 근무했다. 당시 노무현 대통령이 윤 수석의 보고서를 꼼꼼히 챙겨봤다는 건 유명한 일화”라면서 “혁신성장과 소득주도 성장 간 조화를 맞추는 데 최적임자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문재인정부 초기 청와대의 ‘관료 불신’ 시각이 완화된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일부 경제부처에선 윤 수석의 등장을 부담스러워하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산업통상자원부 관계자는 “윤 수석이 기재부 경제정책국장 시절 ‘실물 정책이 따로 필요하냐’는 인식을 보인 적이 있다. 산업부 정책 자체가 소외되지 않을까 걱정된다”고 토로했다. 윤 수석은 인위적으로 시장에 개입하는 정책보다 경제주체 간 수요·공급 조절 등 거시적 접근방법을 선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각에서는 새 경제팀의 색깔보다 ‘그립(장악력)’이 센 청와대 ‘장-윤 라인’(장하성-윤종원)의 등장에 주목한다. 이런 시선에는 청와대와 정부부처 사이에 ‘상명하복 관계’가 더 강해질 수 있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박근혜정부 시절 경제혁신 3개년 계획을 발표하면서 청와대가 토씨 하나까지 일일이 수정했던 게 떠오른다”면서 “말로만 부처 자율을 외칠 뿐 청와대 하청업체가 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세종=이성규 서윤경 기자 zhibago@kmib.co.kr
청와대 장·윤 라인, 청와대 그립 더 세질까 우려도
입력 2018-06-26 18: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