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장사정포 후방 이전 논의” 이낙연 총리 발언 해프닝

입력 2018-06-25 18:32 수정 2018-06-25 22:14
6·25 전쟁 제68주년 행사가 열린 25일 오전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이낙연 국무총리와 참석자들이 6.25의 노래를 제창하고 있다. 피우진(왼쪽부터) 국가보훈처장, 이근순 6.25여군회장, 이낙연 국무총리, 박희모 6.25참전유공자회장, 송영무 국방부장관, 빈센트 브룩스 한미연합사령관. 뉴시스

이낙연 국무총리가 25일 6·25전쟁 제68주년 기념식에서 “장사정포의 후방 이전이 논의되고 있다”고 밝혔다가 논란이 일자 이를 부인하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리는 오전 서울 송파구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열린 기념식에 참석했다. 그는 기념사를 통해 “휴전선 비무장지대(DMZ)에서의 남북 상호 비방방송이 중단됐고 확성기가 철거됐다”면서 장사정포 얘기를 꺼냈다. 최근 변화된 한반도 안보 환경을 설명하다가 나온 발언이었다. 남북이 군사분계선(MDL) 인근에 집중 배치된 북한의 장사정포를 후방으로 철수시키는 논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취지다.

그러나 국방부 측은 “장사정포 후방 배치와 관련해 논의된 바 없다”고 거듭 부인했다. 행정 각 부를 통할하는 국무총리 기념사의 ‘팩트’를 국방부가 부인하는 이례적인 모습이 연출된 것이다.

총리실은 이후 “장사정포 후방 이전 문제는 향후 남북 군사회담에서 논의될 만한 과제의 하나”라며 “우리 내부에서 (이 문제를) 검토한 일이 있으나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에서는 아직까지 공식 논의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청와대는 지난 14일 열린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과 관련해 “(북한의) 장사정포와 해안포는 이번 회담에서 거론되지 않았다. 거론되지 않은 것으로 들었다”고 지난 19일 밝혔다. 국방부 역시 관련 보도를 강하게 부인했다. 일부 매체는 ‘남북 장성급 군사회담에서 북한의 장사정포를 MDL로부터 30∼40㎞ 후방으로 철수하는 방안이 논의됐다’고 보도했지만 사실이 아니라는 것이다.

국방부는 총리의 기념사 발언을 바로잡는 ‘공식 입장문’을 내지는 않았다. 정부 내 혼선으로 비칠 수 있는 데다 총리의 발언을 정면으로 반박하기는 부담스러웠을 것으로 보인다. 군 내부에선 “충분한 ‘팩트 체크’ 없이 기념사가 나온 것 아니냐”는 볼멘소리도 나왔다.

총리실은 이 총리 기념사의 진위 파악에 진땀을 뺐다. 다만 앞으로 군사적 긴장 완화 차원에서 이에 대한 논의가 추진될 가능성은 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