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지역 3대 현안 해결에 본격적으로 나설 채비를 하고 있다. 중요 현안 해결을 더 이상 미뤄서는 안 된다는 위기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다.
시는 관련 전문가와 시민단체 관계자 등 97명으로 구성한 대구 미래비전 2030위원회 안에 대구 수돗물 사태와 대구공항 이전 논란, 신청사 갈등까지 대구 3대 현안을 다룰 태스크포스(TF)를 구성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들은 3대 현안을 논의해 해결 방안을 마련하는 역할을 한다.
대구공항 통합이전은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현재 공항 이전은 경북 군위와 의성 2곳을 통합공항 이전 후보지로 선정하는 데까지 진행됐다. 대구공항과 군공항을 통합이전하는 방안은 권영진 대구시장의 역점 사업이었는데 이번 지방선거를 거치면서 대구공항 존치 목소리가 높아졌다. 지방선거 당시 다른 정당 후보들이 일제히 통합이전을 공격했으며 앞서 같은 정당 대구시장 후보 경선에서도 다른 경선 출마자들이 대구공항 존치를 주장했다. 권 시장은 그동안 “군공항을 이전하는 방법은 통합이전뿐”이라고 주장해왔지만 대구공항 존치를 바라는 민심이 생겨나면서 통합이전의 필요성을 다시 알려야하는 숙제를 안게 됐다.
권 시장 공약에도 포함된 대구시청 신청사 건립도 뜨거운 감자가 될 전망이다. 대구시청 신청사 자리로 옛 경북도청 자리가 거론되면서 현재 시청사가 위치한 중구 지역구 국회의원과 중구가 반발하고 있는 상황이다. 기획재정부도 옛 경북도청 자리 시청사 이전 불가 입장을 밝히며 시를 압박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구시는 “시청사 이전 문제는 시민들이 결정할 일”이라며 불쾌감을 드러내고 있다. 대구시는 시청사 건립 방향을 시민들에게 물을 방침이다.
그동안 답보 상태였던 경북 구미 쪽으로의 취수원 이전 문제도 최근 대구 수돗물 유해물질 검출 사태로 다시 논란이 될 전망이다.
대구 미래비전 2030위원회 서정해 공동위원장은 “TF는 현재 대구시의 가장 큰 현안을 다루게 된다”며 “밀도 있는 논의를 통해 시민들이 공감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구=최일영 기자 mc102@kmib.co.kr
대구시, 수돗물·공항이전·신청사 ‘3대 현안’ 정면돌파
입력 2018-06-25 18: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