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남·북·러 경제협력 적극 추진해야

입력 2018-06-23 04:03
문재인 대통령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22일 정상회담은 여러모로 성과 있는 회담으로 평가된다. 양국 정상은 북한의 비핵화 이후에는 남·북·러 3각 경제 협력이 중요하다는 인식을 공유했다. 천연가스 공급, 철도 연결, 전력망 분야에서의 협력을 구체화함에 따라 향후 상당한 경제적 이득까지 기대된다. 남북 및 북·미 정상회담으로 한반도 정세가 대전환 국면에 접어든 시점에서 양국 정상이 만난 점도 의미가 있다. 러시아가 북한을 움직일 수 있는 또 하나의 축이라는 점에서 한반도 평화 보장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한·러 협력 강화는 양국 모두에 필요하다. 러시아는 크림반도 병합, 시리아 정부 지원으로 미국과 유럽의 제재를 받고 있고, 동북아로의 영향력 확대를 꾀하고 있는 상황에서 한국과의 관계 개선은 요긴하다. 우리로선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과정에서 러시아의 적극적 협력이 필수다. 양국의 전략적 소통 강화는 서로의 이해타산이 맞아떨어진 결과물로 해석된다.

양국의 경제 교류는 아직은 걸음마 수준이다. 그러나 푸틴 대통령의 신동방정책과 문 대통령의 신북방정책의 공통점에서 해법을 찾아간다면 다양한 협력 방안을 모색할 수 있다고 본다. 비핵화 이후 북한의 경제 제재가 해제된다면 양국이 비약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계기를 갖게 된다. 특히 남·북·러 3각 협력을 통해 일자리 창출과 미래 성장동력 마련을 위한 돌파구를 기대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정부가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모든 것의 전제는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라는 점을 잊어선 안 된다. 러시아는 북한의 단계적·동시적 해법에 공감하고 있다. 러시아와 중국 등 관련국들이 윈-윈할 수 있는 균형점을 마련해야만 우리의 행동반경도 넓어질 수 있다. 과거의 6자회담 때처럼 ‘한·미·일 대 북·중·러’ 구도가 재연되지 않도록 입체적 외교 능력을 발휘할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