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바 회계감리 조치안 보완 후 다시 제출해달라”

입력 2018-06-21 19:14
김태한 삼성바이오로직스 대표이사가 20일 오후 정부서울청사 금융위원회에서 열린 삼성바이오로직스 관련 2차 증권선물위원회 정례회의에 참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다. 뉴시스

금융 당국이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012∼2014년 회계처리가 적정했는지를 가리는 작업에 착수했다.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는 삼성바이오로직스 회계감리 결과 조치안을 보완해 다시 제출해 달라고 금융감독원에 요청했다. 증선위는 수정 조치안을 받은 뒤 다음 달 중순까지 삼성바이오로직스 분식회계 심의를 마무리할 방침이다.

금감원은 당초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015년 회계처리에 ‘고의 분식회계’가 있었다고 잠정 결론 내렸다. 하지만 증선위는 2015년 이전의 회계처리에도 문제점이 있는지 살펴보고 있다. 금융위는 “금감원이 수정안을 내면 (증선위는) 앞서 두 차례 논의한 기존 조치안과 병합해 심의할 계획”이라고 21일 밝혔다.

금감원이 수정 조치안을 제출하면 삼성바이오로직스 측과 감사인이 의견을 내는 절차가 이어진다. 다음 달 4일로 예정된 증선위 회의 후에도 필요할 경우 임시회의를 열 계획이다. 앞서 열린 감리위원회 회의에서 2014년 이전 회계처리 방법도 논의했던 만큼 수정 조치안을 받아도 감리위 심의는 생략할 예정이다.

금융권에선 증선위가 삼성바이오로직스의 2012년 회계처리까지 들여다보는 이유에 주목하고 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2년 삼성바이오에피스와 관련한 콜옵션(주식매수청구권)을 공시하지 않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2012년 미국 바이오젠과 공동으로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설립하면서 바이오젠에 콜옵션을 부여했다.

증선위가 공시 누락을 문제 삼을 경우 제재 수위가 낮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2012년의 콜옵션 공시 누락을 ‘고의’가 아닌 ‘실수’로 보는 것이다. 2012년 회계처리 실수를 2015년에 정상화하는 과정에서 삼성바이오에피스를 종속회사에서 관계회사로 변경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반면 삼성바이오로직스에 유리한 국면으로 볼 수 없다는 분석도 만만찮다. 2012년까지 범위를 넓게 잡은 것 자체가 ‘회계처리에 문제의 소지가 있다’는 증선위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금융 당국 관계자는 “일반적으로 범위를 넓히면 회사에는 불리하다. (삼성바이오로직스 측 회계처리에 문제가 있다는) 증선위 인식은 강한 것 같다”고 전했다. 금융위 관계자는 “증선위가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봐줄 이유가 전혀 없다. 공정한 판단이 제일 중요하다”고 말했다.

양민철 나성원 기자 liste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