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업계 경쟁사인 SK에너지와 GS칼텍스가 주유소 네트워크를 활용한 C2C(개인 간 거래) 택배 서비스를 위해 손을 잡는다.
SK에너지와 GS칼텍스는 지난 4월부터 두 회사의 핵심 자산인 주유소 네트워크 및 보유 자산을 결합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연구를 진행한 끝에 첫 협력 모델로 C2C 기반 택배 서비스 ‘홈픽(Homepick)’을 론칭한다고 20일 밝혔다.
이달부터 서울 전역에서 시범 서비스에 들어간 홈픽은 택배시장 주류인 B2C(기업과 개인 간 거래) 방식과 달리 C2C 방식을 전문으로 한다. C2C 택배 서비스는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지만 개인이 택배를 부치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불편함이 있었다. 홈픽은 특화 서비스를 통해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고객이 네이버, 카카오톡, CJ대한통운 앱, 홈픽 홈페이지에서 택배를 접수하면 중간 집하업체인 물류 스타트업이 1시간 안에 고객을 찾아 물품을 수령한다. 물류 스타트업은 해당 물품을 거점 SK에너지와 GS칼텍스 주유소에 집하·보관하고, CJ대한통운이 배송지까지 물품을 운송한다. 9월 중 전국 서비스로 확대할 예정이며 SK에너지와 GS칼텍스가 5대 5 비율로 주유소 네트워크를 제공한다.
이번 사업은 정유업계 1, 2위 회사가 신규 사업을 위해 협력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두 회사는 주유소를 활용한 신규 비즈니스 창출에 대한 고민을 바탕으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이번 협력 모델을 만들어냈다. 추후에도 스타트업과의 상생 생태계 조성, 주유소 공간의 새로운 활용을 통한 일자리 창출, 사회적 가치 창출을 위해 주유소를 기반으로 공유경제 확산을 목표로 협력관계를 지속하기로 했다. 주유소 물류 허브화도 함께 추진할 예정이다.
정유사의 국내 사업 주요 기반인 주유소 사업은 현재 한계에 봉착해 있다. 1995년 주유소 간 거리 제한이 완전히 사라지면서 급증했던 국내 주유소는 2010년을 정점으로 숫자가 줄기 시작했다. 2010년 1만3000여곳이던 주유소 숫자는 지난해 1만2000여곳으로 줄었다. 숫자 증가로 인한 경쟁심화, 환경 문제로 내연기관 차량에 대한 규제 심화 등 미래 전망도 불투명하다. 이 같은 상황에서 주유소 공간을 활용한 신규 사업은 주유소의 수익성 측면에서 새로운 활로가 된다.
앞서 SK에너지는 지난 3월 CJ대한통운과 주유소를 O2O(온·오프라인 연계) 서비스의 오프라인 플랫폼으로 바꾸기 위한 사업 추진 협약을 체결했다.
김현길 기자 hgkim@kmib.co.kr
SK에너지·GS칼텍스, 택배사업 협력
입력 2018-06-21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