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의 중심국가 독일과 프랑스가 줄다리기 끝에 ‘유로존 공동예산’을 편성하는 데 큰 틀의 합의에 성공했다. 이번 결정으로 일단 EU 개혁의 첫 문턱을 함께 넘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은 19일(현지시간) 베를린에서 정상회담을 하고 2021년까지 유로화 사용 19개국의 공동예산을 도입하는 데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양국은 개혁안을 28일부터 이틀간 벨기에 브뤼셀에서 열리는 EU 정상회담에 제출한다.
마크롱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연설에서 처음 유로존 공동예산 편성을 제안했다. 역내 투자를 촉진하고 회원국 간 경제 격차를 줄여 ‘강한 유럽’을 만들자는 취지였다. 그러나 메르켈 총리는 예산을 새로 편성하기보다 EU의 현행 구제금융기구에 해당하는 유럽안정화기구(ESM) 자금을 최대한 활용하자며 미적지근하게 대응해 왔다.
메르켈 총리는 정상회담 뒤 공동기자회견에서 “유로존 개혁을 논의하기가 가장 어려웠다”면서 “새로운 장을 열었다”고 자평했다. 다만 두 정상은 유로존 예산 편성 관련 세부사항은 확정하지 않은 채 남겨뒀다. 메르켈 총리는 공동예산을 현행 EU 예산 구조 안에서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난민 문제도 함께 논의됐다. 마크롱 대통령은 프랑스에서 난민 신청을 한 뒤 독일로 건너가려는 난민들을 귀환시키겠다고 약속했다. 양국 합의로 EU 정상회담에서 다른 국가들도 같은 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이 높아졌다. 두 정상은 최근 반(反)이민 기류가 EU 회원국 사이에 확산되는 데 대해 “일방적인 조치를 시작한다면 유럽에 오는 난민이 늘어나는 결과만 초래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일단 이번 합의는 두 정상 모두에게 정치적 이득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는 “최근 난민 문제와 관련해 독일 내부의 도전에 직면했던 메르켈 총리에게는 ‘아미티에’(amitie·우정을 뜻하는 프랑스어)를 보여준 이번 회담이 특히나 중요했다”고 전했다. 조효석 기자
獨·佛, 유로존 공동예산 합의
입력 2018-06-20 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