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차기 회장 선출을 둘러싼 논란이 점입가경이다. 두 달째 선출과정이 진행 중인 가운데 청와대 인사 개입설, 권오준 전 회장 인맥 내정설, 변양균 전 청와대 정책실장의 특정인사 지원설 등이 잇따랐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와 정의당 의원이 나서 선출 절차를 투명하게 할 것을 촉구하는 등 정치권으로까지 비화됐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19일 “포스코 회장 선임 절차를 보면 소위 몇몇 사람이 카운슬이라는 밀실에서, 또 전 회장이 영향을 미친다는 그런 의혹이 많다. 국민의 기업을 이렇게 사유화하는 방식으로 운영해서는 안 된다”고 했다. 추혜선 정의당 의원은 “이른바 포피아(포스코+마피아) 세력이 포스코를 사유화하려는 의혹이 강하게 제기된다”면서 정준양, 권오준 전 회장 등이 깊숙이 개입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우선 정부 지분이 하나도 없는 민간기업의 최고경영자(CEO) 선출에 여당 원내대표가 감놔라 배놔라 하는 것은 말이 안 된다. 야당 시절 비난했던 과거 정부의 행태를 되풀이하는 것이다. 포스코가 처한 경영 환경은 녹록지 않다. 이럴 때일수록 기업의 자율성이 긴요하다.
차기 CEO 선정 과정의 불투명성이 논란을 부른 측면도 강하다. 차기 회장 선출은 포스코 사외이사 5명으로 구성된 ‘승계 카운슬’이 주도하고 있는데 회장 후보 명단조차 공개하지 않고 있다. 12일에도 논란이 일자 후보군을 11명으로 압축했다는 자료만 냈을 뿐 면면을 밝히지 않았다. 외풍을 차단하기 위함이라는 명분이지만 이러한 지나친 비밀주의가 의혹을 키우고 있다. 승계 카운슬이든 CEO 선정위원회든 선정 절차를 보다 투명하게 공개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어떤 잡음 속에서도 견지해야 할 원칙이 있다. 철강 산업에 대한 전문성과 경영 능력을 갖춘 인사를 선택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미 포스코를 떠난 권 전 회장이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는 후보 등도 걸러내야 리더십에 힘이 실릴 것이다
[사설] 포스코 회장, 선출 투명성 높이되 전문성 위주로
입력 2018-06-21 04: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