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닐하우스형 축사 개선 AI 막는다

입력 2018-06-20 19:03
전남도가 오리 농가에 매년 큰 피해를 안기고 있는 고병원성 AI(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원인 분석과 해결책을 찾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전남도는 전날 도청에서 ‘오리 사육 및 AI 방역체계 개선방안’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고 비닐하우스형 축사 개선과 방역주체별 행동요령 등을 확립해 AI 발생을 최소화해 나가기로 했다고 20일 밝혔다.

보고회에는 전남도지사 권한대행 이재영 행정부지사와 농림축산검역본부, 국립축산과학원 등에서 축산·방역 전문가 23명이 참석했다. 전남의 오리 사육 마릿수는 지난해 말 기준 410여만 마리로 전국의 55%를 차지하고 있다.

고병원성 AI는 2003년 처음 발생해 2∼3년 주기로 나타나다가 2014년부터는 매년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살처분 보상금과 소득안정자금 등으로 막대한 재정 손실을 입히는 것은 물론 살처분 가축 매몰에 따른 환경오염 등 사회적 문제도 제기된다.

전남도의 연구용역 수행기관인 ㈜반석엘티씨는 고병원성 AI가 야생 조류·철새에서 발생한 뒤 차량 이동 등을 통해 주로 전파된다고 분석했다. 또 비닐하우스 등 가설건축물 축사의 시설 개선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특히 고병원성 AI가 깔짚에 의해 축사 내로 전파되는 만큼 깔짚 보충 없는 축사와 깔짚 사용 없는 축사의 도입, 사람의 축사 출입을 최소화하도록 축사 상부레일 및 깔짚 이송장치 설치 등의 방안도 제시했다.

AI가 주로 방역 시설이 열악한 농가에서 발생함에 따라 오리농가별 질병관리 등급제를 도입해 하위등급 농가를 집중 관리해야 한다는 지적도 내놨다. 지역단위로 오리 입식과 출하를 동기화해 일시적 휴지기 효과를 높이는 방안도 제안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