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3 대상 대입 전형, 사지선다 실험 시작

입력 2018-06-20 19:33 수정 2018-06-20 22:14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회 김영란 위원장이 20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브리핑룸에서 4가지 입시개편 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뉴시스
현재 중학교 3학년에 적용하는 2022학년도 대입 개편 시나리오 4가지가 공개됐다. 대입 선발 인원의 절반가량을 대학수학능력시험으로 뽑는 방안부터 현행 제도 유지까지 다양한 논의를 4가지로 정리했다.

국가교육회의 대입제도개편 공론화위원회는 20일 대입개편 공론화 의제(시나리오)를 확정 발표했다. 앞서 국가교육회의 대입제도개편 특별위원회는 공론화위에 학생부-수능전형 간 비율, 절대평가 전환, 수능 최저학력기준 활용 등 3가지 쟁점을 공론화해달라고 요청했다. 4가지 시나리오는 이 3가지 쟁점을 조합한 선택지다. 다음 달 초 구성되는 시민참여단 400명은 이 4가지 선택지 중 하나를 고르게 된다. 3개는 수능 상대평가를 유지하는 방안이고, 절대평가 전환 방안이 1개다.

1안은 모든 학과(실기 제외)에서 수능 전형으로 정원의 45% 이상을 선발하는 방안이다. 수시에서 정시로 이월되는 인원을 포함하면 실제로는 정원의 절반을 수능으로 뽑게 된다. 다만 학생부교과전형으로 30% 이상 선발하는 대학은 45%룰을 적용하지 않는다. 학생부교과전형을 거의 시행하지 않는 서울 주요 대학들이 타깃이란 얘기다. 정시가 확대 되므로 수능은 상대평가 방식을 유지한다. 수능 최저 기준은 대학 자율로 둔다.

2안은 대학이 수시와 정시 비율을 자율적으로 정한다. 수능은 전 과목을 절대평가로 전환한다. 수능 최저 기준은 현행보다 강화하지 않는 선에서 대학이 활용하도록 한다. 공론화위는 2안에서 ‘특정 전형에 과도하게 치우쳐 학생 전형 선택권이 제한되지 않도록 함’이란 단서를 달았다. 그러나 수능이 절대평가로 전환되면 주요 대학들은 정시 비중을 지금보다 더욱 줄일 것이란 전망이 많다.

3안은 현행 제도와 흡사하다. 수시와 정시 비율은 대학 자율이다. 수능은 상대평가다. 수능 최저 기준은 대학이 결정하되 지원자 전공과 관련된 과목으로 적용 범위를 제한하는 걸 교육부가 권장하는 방식이다. 4안은 수능 전형을 현행보다 늘리되 학생부교과전형과 학생부종합전형의 비율은 대학이 정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수능은 상대평가로 두고, 수능 최저 기준 활용 역시 대학에 맡긴다.

공론화위는 이날부터 19세 이상 국민을 대상으로 시민참여단 구성에 나선다. 지역·성·연령 등에 따라 무작위로 2만명을 조사하고 대입전형에 대한 태도 등을 고려해 다음 달 초 400명을 선정한다. 학생이 주도하는 ‘미래세대 토론회’도 열린다. 21일부터 28일까지 4개 지역에서 학생 290여명이 참여한다. 토론 내용은 시민참여단의 숙의 과정에 반영된다. 전 국민을 대상으로 국민대토론회와 TV토론회도 예정돼 있다.

이도경 기자 yid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