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회장, 철강 전문성 갖춘 인사가 선정돼야”

입력 2018-06-19 19:17 수정 2018-06-20 00:02

포스코를 이끌 차기 최고경영자(CEO)를 선정하는 ‘승계 카운슬(council)’이 20일 최종 면접 심사 후보를 선정한다. 회장 후보군이 일절 공개되지 않으면서 ‘깜깜이 심사’ 논란이 일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 외압설’ 등을 불식시킬 인사가 선정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19일 포스코에 따르면 승계 카운슬은 현재까지 7차 회의를 열고 내·외부에서 발굴한 회장 후보군을 6명으로 압축했다. 승계 카운슬은 20일 8차 회의에서 최종 면접 대상자를 확정한다. 포스코 관계자는 “최종 면접 대상자는 5명 내외가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승계 카운슬이 20일 회의에서 4, 5명으로 압축된 최종 면접 대상자를 CEO후보추천위원회에 제안하면 CEO후보추천위는 두 차례의 심층면접을 통해 이달 말까지 회장 후보 1명을 선정해 이사회에 추천한다. 이후 주주총회를 거치면 새 회장이 확정된다.

현재까지 회장 후보 명단이 공개되지 않으면서 하마평만 무성한 상황이다. 포스코 내부에서는 오인환·장인화 포스코 대표이사 사장, 최정우 포스코켐텍 사장 등이 거론되고 외부 인사로는 김준식 전 사장, 이희범 전 산업자원부 장관, 조석 전 지식경제부 차관, 정철길 SK 부회장 등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특히 관료 출신들이 후보군에 올랐다는 소문이 돌면서 여러 억측을 낳고 있다.

업계에서는 세계적 철강기업인 포스코를 지휘하기 위해서는 철강 사업에 전문성이 있는 포스코 출신이 차기 회장이 돼야 한다는 견해가 많다. 실제로 지금까지 8명의 회장 중 김만제 전 회장을 제외한 7명이 모두 포스코 내부 인사 출신이다.

포스코도 차기 회장의 자격으로 글로벌 경영역량, 혁신역량, 핵심 산업에 대한 이해도, 핵심 산업 추진역량 등을 꼽았다. 하지만 전임 권오준 회장이 갑작스럽게 중도하차하고, 새 회장을 뽑는 과정에서도 사외이사들이 전권을 행사하면서 뒷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정치권도 포스코 회장 심사 논란에 부채질을 하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홍영표 원내대표는 이날 “포스코에 사장 선임 절차를 보면 소위 카운슬이라는 몇몇 사람들이 밀실에서, 또 전 사장이 여기에 영향력을 미친다는 그런 의혹까지 많이 있는데 국민의 기업을 이렇게 사유화하는 방식으로 운영해서는 안 된다”며 “절차적 투명성이 굉장히 중요하고 제도화 같은 것들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에서는 회장 후보 심사를 중단하라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하지만 포스코 안팎에서는 여당 지도부가 공개적으로 민간기업의 회장 심사 과정을 문제 삼는 것은 기업 경영의 자율성을 고려할 때 부적절하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임성수 기자 joyls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