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 내린 5G 주파수 경매… 이젠 망구축 경쟁 ‘스타트’

입력 2018-06-19 19:16 수정 2018-06-20 00:03

LTE보다 20배 빠른 5G(세대) 통신 표준이 마련되고 주파수 경매가 마무리되면서 이제 국내 5G 서비스 상용화까지는 사업화 단계만 남았다.

이동통신 3사는 늦어도 올 9월까지 통신장비 제조사를 선정하고 내년 3월까지는 전국에 5G 통신장비를 설치할 계획이다. 전국망이 깔릴 때쯤 스마트폰 제조사들이 5G용 통신단말기를 공급하고 이통 3사가 5G 요금제를 출시하면 서비스가 시작된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이통 3사는 통신장비 공급업체 선정을 시작으로 본격적인 망 구축작업에 착수한다. 삼성전자와 노키아 등 국내외 통신장비 제조사는 이통사별 주파수 특성과 이동통신 표준화 국제협력기구(3GPP)에서 최근 공표한 통신장비 표준규격에 맞춰 장비를 공급한다. 업계에서는 이통 3사가 전국망을 구축하는 데 수년 동안 20조원 이상을 쓸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통 3사는 통신장비 제조사 중에서 최종 후보군을 추려 막판 협상을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SK텔레콤·KT는 삼성전자·노키아·에릭슨으로부터, LG유플러스는 이들 3곳과 중국 화웨이로부터 장비를 공급받았다. 국내 LTE 장비 점유율은 삼성전자 40%, 노키아 20%, 에릭슨 20%, 화웨이 10% 수준으로 추정된다.

업계에서는 5G 장비 시장에선 화웨이가 점유율을 높일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화웨이가 삼성전자보다 5G 장비 기술력이 3개월 이상 앞선 데다 가격도 20∼30% 저렴해 이통 3사가 결국 화웨이 장비 비중을 늘릴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한국 미국 등에서 2013년부터 중국 통신장비 제조사들의 보안 이슈가 제기되는 게 변수다. 두 나라는 중국 업체가 통신장비에 ‘백도어(악성코드)’를 심어 데이터를 빼돌릴 수 있다고 우려해 왔다. 아울러 중국 업체의 통신장비 비중을 늘리면 삼성전자에 통신장비를 납품해온 국내 중소업체들이 도산할 것이라는 위기감도 크다.

5G 상용화 초기에는 서울과 일부 대도시에서 인공지능(AI)이나 제조업, 자율주행차 실험 등에 사용될 B2B(기업 간 거래) 무선통신 서비스가 먼저 제공될 예정이다. 일반 가입자들은 일러야 내년 4월 5G용 스마트폰과 요금제가 출시되면 5G 속도를 느껴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5G 통신에 맞는 매력적인 콘텐츠가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일반 가입자들이 5G에 얼마나 관심을 보일지는 미지수다. 이통 3사는 가상현실(VR)·증강현실(AR) 등 실감형콘텐츠 등을 5G 킬러콘텐츠로 내세우고 있다. 하지만 사람만 북적이지 않으면 LTE로도 이런 콘텐츠들을 막힘없이 구현할 수 있다는 게 업계의 고민이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