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대(5G) 이동통신에 필요한 주파수 경매가 이틀째인 18일 총 낙찰가 3조6183억원에 마무리됐다. 관심을 모았던 전국망 대역인 3.5㎓(개인용 5G 무선통신) 280㎒폭은 SK텔레콤과 KT가 각각 100㎒폭, LG유플러스가 80㎒폭을 할당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오후 정부과천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5G 이동통신용 주파수 경매 최종 결과’를 발표했다.
이통통신 3사 간 가장 치열한 수싸움이 벌어졌던 3.5㎓ 대역 주파수 경매에서 LG유플러스가 80㎒ 폭에 입찰하면서 경매가 단기간에 끝날 수 있었다. 그 덕에 SK텔레콤과 KT가 각각 100㎒폭을 할당받았다. 결국 80㎒를 선택한 LG유플러스는 20㎒를 포기하는 대신 가장 적은 금액으로 주파수를 할당받았다. 주파수 폭은 데이터를 나르는 도로와 같은 개념으로 넓은 폭을 확보할수록 통신 속도가 빨라진다.
2단계로 진행된 위치 결정에서는 LG유플러스(3.42∼3.5㎓), KT(3.5∼3.6㎓), SK텔레콤(3.6∼3.7㎓) 순으로 정해졌다. 3.5㎓ 대역 최종 낙찰가는 SK텔레콤이 1조2185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KT(9680억원), LG유플러스(8095억원) 순이었다.
초고주파인 28㎓ 대역(스마트시티, 스마트공장 등 대용량 전용망) 2400㎒폭은 3사가 동일한 800㎒폭씩 할당받았다. 위치는 KT(26.5∼27.3㎓), LG유플러스(27.3∼28.1㎓), SK텔레콤(28.1∼28.9㎓) 순으로 정해졌다. 해당 대역 최종 낙찰가는 SK텔레콤(2073억원), KT(2078억원), LG유플러스(2072억원)로 큰 차이가 없었다.
3사별로 보면 SK텔레콤과 KT가 두 대역을 합해 900㎒폭씩 가져갔고, LG유플러스는 880㎒폭을 확보했다. 1단계와 2단계를 합한 총 낙찰가는 SK텔레콤 1조4258억원, KT 1조1758억원, LG유플러스 1조167억원이다. 이통사들이 낸 주파수 할당 대가는 방송통신발전기금과 정보통신진흥기금의 재원으로 쓰인다.
SK텔레콤은 “주파수 경매 핵심인 3.5㎓ 대역에서 최대 용량인 100㎒폭과 함께 노른자위로 평가되는 C대역을 확보해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 선도의 초석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KT도 “이번 결과에 만족하며 시장원리에 따른 합리적 경매였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는 “단순히 주파수 양이나 속도경쟁 중심의 마케팅을 지양하고 할당받은 주파수를 최대한 활용해 선도적으로 장비를 구축하겠다”며 실용적인 입장을 취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
SKT·KT, 5G 주파수 3.5㎓ 최대 대역폭 낙찰
입력 2018-06-19 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