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한국당 혁신, 국민들이 지켜보고 있다

입력 2018-06-19 04:04
자유한국당 김성태 대표 권한대행이 18일 지방선거 참패에 따른 당 수습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대한 당내 반발이 적지 않으나 혁신안 내용 중에는 일부 눈에 띄는 대목도 있다. 김 권한대행은 “수구적 보수, 냉전적 보수를 다 버리고 합리성에 기반한 새로운 이념적 지표를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또 “기득권 보수가 아니라 수구와 냉전 반공주의를 혁파하고 국민 인식 정서에 부합하는 정의로운 보수의 뉴트렌드를 만들어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반공보수, 태극기보수에 머물러 온 한국당이 합리적인 중도층까지 아우를 수 있는 방향으로 보수의 가치를 새로 정립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김 권한대행은 또 세대교체와 인적 쇄신을 강조했다. 이는 쉬운 일이 아니다. 하지만 낡은 체제와 관행에 안주하며 기득권 유지에 급급한 ‘올드보이’들이 당 운영을 주도하거나, 당 지도부가 잘못할 때는 가만히 있다가 이제야 끼리끼리 모여 개혁을 외치는 기회주의적인 초·재선 의원들이 설치는 한 혁신은 불가능하다. 김 권한대행이 밝힌 중앙당 해체와 당명 교체 등에 대해서도 반대하는 의원들이 많다. 인적 청산과 당 쇄신 방안에 대해서도 ‘독단적인 결정’ ‘인위적 인적 쇄신’ 운운하며 저항하는 모습도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처음부터 새로 시작하는 자세가 아니라 미봉책만 내놓는 수준에 그치면 지금의 위기를 돌파할 수 없다.

중앙당 조직을 원내 중심 정당으로 만들고 당 자산을 처분해 당 재정을 효율화하겠다는 것도 적절해 보인다. 필요하면 당 재산을 국가에 헌납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하는 상황이다. 한국당은 한나라당 시절부터 위기 때마다 중앙당 해체나 당명 개정, 원내 중심 정당 구축 등의 혁신안을 내놓았다. 하지만 그때뿐이었다. 이번 혁신안이 ‘무릎 꿇기’에 이은 또 하나의 보여주기 식 이벤트에 그쳐서는 안 된다. 진정한 반성이나 의견수렴 절차를 거치지 않고 내놓은 깜짝 혁신안이어서 진통도 예상된다. 김 권한대행은 홍준표 전 대표와 함께 책임을 져야 할 당사자로서 혁신을 주도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는 지적이 있다. 진정성을 보여주기 위해서라도 김 권한대행부터 향후 혁신 작업을 비상대책위원회에 넘기고 백의종군하는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