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상 전문가들은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으로 인해 한국 기업들의 피해도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전기·전자, 기계, 철강과 유화산업 등이 대표적인 피해 산업으로 꼽혔다.
한국무역협회는 17일 ‘기술패권을 둘러싼 미·중 간 통상분쟁’ 보고서에서 “미국의 대중 제재 결정은 항공·정보통신·로봇 등 중국의 첨단 기술품목을 포함해 ‘중국 제조 2025’를 견제하되 TV·휴대폰 등 일반 소비재는 제외함으로써 자국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조치”라고 설명했다. 이어 “전기전자, 기계, 철강이 포함돼 (우리나라도)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 4월 무역협회는 미·중 양국 간 무역전쟁이 격화될 경우 최대 367억 달러(약 39조원)의 피해를 볼 것이라는 분석을 내놨다. 우선 중국의 대미(對美) 수출이 감소할 경우 한국의 대중(對中) 중간재 수출이 줄어들 수밖에 없다. 중국의 수출 부진이 성장 둔화로 이어지면 한국의 대중 수출도 감소한다.
현대경제연구원도 중국의 대미 수출길이 막히면 한국의 대중수출도 타격을 입을 것으로 봤다. 미국이 중국 수입품의 10%에 달하는 500억 달러 규모의 수입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해 미국의 대중 수입이 10% 줄면 한국의 대중 수출액은 282억6000만 달러(31조원) 감소할 것이라고 추산했다.
피해는 특정 품목에 집중될 것으로 보인다. 무역협회는 중국의 첨단기술을 견제하기 위해 미국이 새롭게 포함한 284개 품목에 주목했다. 주로 전기전자, 기계, 철강 분야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전기 장비와 유화산업, IT 부문의 타격을 우려했다. 전기장비가 109.2억 달러로 가장 큰 수출 감소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고 IT(56.0억 달러), 유화(35.2억 달러)가 뒤를 이었다.
미국과 중국 간 통상 갈등이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한국도 이에 대비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 주원 실장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는 개정협상을 끝내고 협정문을 수정 중”이라며 “중국 공장에서 조립해도 한국 제품으로 인정하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세종=서윤경 기자 y27k@kmib.co.kr
美·中 통상전쟁에 한국, 전자·철강 피해 클 듯
입력 2018-06-17 18:41 수정 2018-06-17 21: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