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단체장 151곳 석권 민주, 수도권서만 62곳 차지

입력 2018-06-14 18:05 수정 2018-06-14 21:47



더불어민주당이 6·13 지방선거 광역단체장 선거는 물론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도 압승했다. 민주당은 전국 226개 기초단체장 중 151곳을 차지했다. 제1야당인 자유한국당은 53명의 기초단체장을 배출하는 데 그쳤다. 민주당은 특히 보수세가 강한 영남과 강원에서도 한국당을 압도했다.

민주당은 이번 선거에서 수도권 기초단체장 66개 가운데 62개를 차지했다. 2년 뒤 치러지는 21대 국회의원 총선거와 2022년 제20대 대선을 생각하면 ‘수도권 싹쓸이’는 의미가 크다. 수도권 유권자는 2127만명으로 전체 4290만명의 49.6%에 이른다. 특히 서울은 구청장 선거 25곳 가운데 24곳을 이겼는데, 강남구청장과 송파구청장 선거 승리로 ‘강남 보수 불패’ 신화를 깼다. 민주당 소속 강남구청장의 탄생은 민선 구청장 체제 출범 이후 23년 만에 처음이다. 경기 기초단체장 선거에서도 민주당은 가평군과 연천군을 제외한 전 지역을, 인천에서는 강화군을 제외한 전 지역을 석권했다. 경기 양평군과 포천시, 인천 옹진군 등 수도권 내 보수세가 강한 지역을 이긴 것도 민주당으로선 고무적인 일이다. 한국당은 서울에서는 서초구, 경기에서는 가평군과 연천군, 인천에서는 강화군만 승리했다.

이번 선거에서 민주당에 정치적으로 가장 큰 승리를 안겨준 곳은 부·울·경(부산·울산·경남)이다. 이들 지역은 광역단체장 당선자가 모두 민주당 후보인데, 민주당 계열 정당에서 이 지역 광역단체장이 당선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민주당은 한국당 텃밭이었던 부산 구청장 선거에서도 16명 가운데 13명을 당선시켰다. 1∼6회 지방선거에서 2명 이상 나오지 않았던 경남 기초단체장도 이번엔 7명이나 나왔다. 특히 경남 최대 도시인 창원에서는 민선 출범 이후 처음으로 허성무 민주당 후보가 당선증을 받게 됐다. 울산에서는 광역단체장과 구청장 전체, 국회의원 재선거를 모두 이겨 ‘트리플 크라운’을 달성했다. 한국당은 부산 2곳, 경남 10곳 승리에 그쳤다. 민주당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참혹한 패배다.

TK(대구·경북)에서는 보수의 벽이 여전히 높았다. 대구 유권자들은 한 명의 구청장도 민주당 후보에게 허락하지 않았다. 경북 유권자들도 한 곳만 민주당에 내줬다. 한국당은 대구 구청장 선거 8곳 중 7곳과 경북 기초단체장 선거 23곳 중 17곳에서 승리했다. 민주당은 우세를 예상했던 대구 동구 수성구 달성군, 경북 칠곡군에서 모두 패배했다. 하지만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가 있는 ‘보수의 성지’ 경북 구미시장에 민주당 후보가 당선됐고, 대구 동구와 경북 칠곡군에서도 민주당 후보가 한국당 후보에 각각 4.37% 포인트, 3.74% 포인트 차로 석패했다. 민주당 영남권 의원은 14일 “역사상 최초의 민주당 구미시장이 나왔다는 것만으로도 이번 지방선거는 성공적”이라며 “TK에서도 더욱 열심히 확장하라는 대구·경북 유권자들의 표심을 곳곳에서 느낄 수 있었다”고 말했다.

강원과 중원 승리도 민주당엔 주요한 포인트다. 2014년 지방선거 때는 강원에서 민주당 후보가 당선된 기초단체장은 원주시장 한 명뿐이었다. 하지만 이번에는 민주당이 11곳에서 승리했고, 한국당은 북한과 인접한 5곳(강릉 양양 영월 화천 철원)만 차지했다. ‘안희정 성폭행’ 의혹의 직격탄을 맞은 대전·충청에서도 민주당은 31개 기초단체장 가운데 23곳을 이겼다. 대전은 5명의 구청장이 모두 민주당 후보가 당선됐고, 충북과 충남에서는 각각 7명과 11명이 당선됐다. 민주당의 한 충청권 의원은 “대도시인 대전은 ‘문재인 바람’을 탈 줄 알았지만, ‘안희정 파문’이 있었던 충남에서도 한국당을 11대 4로 이길 줄은 몰랐다”고 말했다.

광주에서는 지난해 대선에 이어 이번에도 압도적 지지를 얻었다. 5명의 민주당 구청장 후보가 모두 당선됐고, 광주 서갑 재선거에 출마한 송갑석 민주당 후보는 김명진 민주평화당 후보를 67.0% 포인트 차로 누르고 국회의원 배지를 달았다.

다만 전북·전남 기초단체장 36개 가운데 3분의 1인 12개를 평화당과 무소속 후보에 내준 점은 민주당으로선 아픈 대목이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호남에서는 후보 검증이 다소 헐거웠던 면이 있었다”며 “호남 민심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최승욱 신재희 기자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