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13 지방선거 투표율이 오후 5시 기준 56.1%를 기록했다. 지방선거로는 가장 높았던 1995년 제1회 지방선거 투표율(68.4%)에 이어 두 번째 투표율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같은 시간대를 기준으로 2014년 지방선거보다 3.9% 포인트 높은 투표율이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13일 전국 선거인 4290만7715명 중 투표자는 2406만7041명, 투표율은 56.1%(오후 5시 기준)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지난 8∼9일 실시된 사전투표 결과를 함께 반영한 수치다.
오전 7시 공개된 첫 투표율은 2.2%였다. 같은 시간대를 기준으로 2014년 지방선거(2.7%), 19대 대선(2.5%)보다 낮았다. 오후 12시 기준 투표율은 19.7%로 직전 대선·지방선거보다 낮았다. 하지만 사전투표자 수가 합산된 오후 1시부터 투표율이 올라갔다. 오후 1시 투표율은 43.5%였다. 2014년 지방선거 동시간대 투표율(38.8%)보다 4.7% 포인트 높은 것은 물론 오후 2시 투표율(42.5%)보다도 1% 포인트 높았다. 이번 사전투표자 수는 864만897명으로 2014년 당시 사전투표자 수(474만4241명)의 1.8배에 달했다. 선관위 관계자는 “이번 사전투표율(20.14%)이 지난 대선에 이어 역대 두 번째로 높게 나타나면서 투표율 제고 효과를 톡톡히 가져왔다”고 분석했다.
지역별 투표율 차이가 두드러졌다. 호남 지역 투표율은 높았지만 관심을 모았던 일부 경합지역(대구·인천·경기) 투표율은 오히려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17개 시·도 투표율은 최대 15.2% 포인트까지 차이가 났다. 지난 8∼9일 진행된 사전투표에서도 전남 사전투표율은 31.70%로 대구 사전투표율(16.40%)의 두 배에 달했다.
이러한 흐름은 본투표에서도 이어졌다. 주요 선거마다 투표율 상승을 견인한 호남은 이번 선거에서도 전국 평균보다 높은 투표율을 보였다. 전남(66.2%) 전북(61.9%)이 각각 1위, 3위를 차지했으며 제주가 62.4%(2위)로 높은 투표율을 보였다. 사전투표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인천(51.0%) 대구(52.5%) 경기(53.6%)는 투표율 하위권을 기록했다. ‘보수의 심장’인 대구 지역은 보수당에 대한 실망감이, 인천과 경기 지역은 ‘이부망천(이혼하면 부천, 망하면 인천간다)’ ‘여배우 스캔들’ 논란이 계속됐던 곳이다.
전문가들은 보수 성향 유권자의 실망감, 선거 막바지 네거티브전에 대한 피로감 때문에 투표장에 나서지 않은 이들이 상당수일 것이라 분석했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대구처럼 전통적으로 보수세가 강한 지역에서 유독 투표율이 낮게 나타나는 이유로 여권의 압도적 승리가 점쳐지는 이번 선거전에 대한 보수 유권자의 실망감을 들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경기, 인천 등 막판까지 네거티브전이 난무한 지역 유권자들이 정치 피로감이 강했고, 이러한 상황이 선거 무관심 현상을 부추겼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지방선거와 함께 진행된 국회의원 재·보궐선거 투표율도 오후 3시 기준 50.6%로 나타났다. 재보선이 치러지는 12곳 중 전남 영암·무안·신안(64.6%) 투표율이 가장 높았고, 충남 천안갑(40.6%) 투표율이 가장 낮았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
‘보수 실망’ 대구, ‘진흙탕’ 인천·경기 투표율 저조
입력 2018-06-13 1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