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상호금융 등 주로 저소득층이 이용하는 제2금융권의 신용대출 연체율이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금리 인상기를 맞아 저소득층의 빚부터 부실화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1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저축은행의 1분기 말 가계대출 연체율은 4.9%로 지난해 말보다 0.04% 포인트 올랐다. 이 가운데 가계신용대출 연체율은 6.1%에서 6.7%로 뛰었다. 신협과 농협 등 상호금융권도 지난 3월 말 가계연체율이 1.38%로 지난해 말보다 0.22% 포인트 상승했다. 신용대출 연체율은 1.38%에서 1.65%로 껑충 올랐다.
보험사 대출에서도 가계신용대출의 연체율이 상승 흐름을 보인다. 보험사 대출의 전체 연체율은 지난해 말 0.51%에서 올해 3월 말 0.52%로 0.01% 포인트 오르는 데 그쳤다. 반면 보험사 대출 중 가계대출 연체율은 같은 기간 0.52%에서 0.56%로 뛰었다. 특히 신용대출 등(기타 담보대출 포함)의 연체율은 같은 기간 1.30%에서 1.42%로 0.12% 포인트나 상승했다.
제2금융권과 달리 제1금융권(시중은행·지방은행)의 연체율은 하향 안정화되고 있다. 은행들의 가계대출 중 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1분기 말 0.40%로 지난해 말(0.38%)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도 0.17%에서 0.18%로 소폭 오르는 데 그쳤다.
금융권의 연체율이 양극화를 보이는 것에 대해 전문가들은 “금리 인상기에는 가장 약한 고리인 제2금융권의 신용대출부터 균열이 생기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예금은행 가계대출의 일반신용대출 평균금리는 지난해 8월 3.78%에서 지난 4월 4.49%로 뛰었다. 이에 대출 상환부담을 이기지 못한 저소득층이 늘어난 것이다. 금리가 본격적으로 오르면 제2금융권의 연체율 상승 흐름이 제1금융권 또는 기업대출 등으로 번질 가능성이 높다.
정부는 취약차주 지원과 동시에 제2금융권 대출 조이기에 나섰다. 실직·폐업 등이 발생한 가계대출 차주의 원금상환을 유예해주는 ‘가계대출 프리 워크아웃 제도’를 올해 도입했다. 지난달부턴 2금융권 변동금리 주택담보대출을 고정금리 대출로 바꿔주는 ‘더나은 보금자리론’도 판매 중이다. 동시에 다음 달 중으로 제2금융권에도 총체적상환능력비율(DSR) 규제를 적용한다.
안규영 기자 kyu@kmib.co.kr
제2금융권 신용대출 연체율 급증… 금리의 공습 시작?
입력 2018-06-11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