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남영동 대공분실, 민주인권기념관 만든다

입력 2018-06-11 05:05
현재 경찰청 인권센터로 운영되고 있는 옛 남영동 대공분실 모습이다. 박종철 열사가 고문을 받다 사망한 현장인 대공분실 509호는 당시 모습 그대로 보존되고 있다. 뉴시스

박종철 열사가 고문을 받다 숨진 옛 남영동 대공분실이 민주인권기념관으로 꾸며진다.

문재인 대통령은 10일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6·10 민주항쟁 31주년 기념식’에서 김부겸 행정안전부 장관이 대독한 기념사를 통해 “우리 민주주의 역사에는 고문과 불법감금, 장기구금과 의문사 등 국가폭력에 희생당한 많은 분들의 절규와 눈물이 담겨 있다”며 “그 대표적인 장소가 남영동 대공분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민주주의자 김근태 의장이 고문당하고 박종철 열사가 희생된 이곳에 민주인권기념관을 조성할 것”이라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를 비롯해 공공기관, 인권단체, 고문 피해자와 민주화운동 관련자들이 이 공간을 함께 만들고 키워갈 수 있도록 정부가 적극 돕겠다”고 덧붙였다.

행안부는 내년 초까지 경찰청으로부터 남영동 대공분실 관리권을 이관받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를 중심으로 한 시민사회에 관리를 위탁할 예정이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와 인권기념관추진위원회 등 시민사회 주도로 활용방안을 마련토록 하고, 정부와 민주화운동가, 역사학자 등이 참여하는 공론화 과정을 거쳐 최종 결정하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민주열사박종철기념사업회 등 시민단체들은 그동안 국가폭력의 상징인 남영동 대공분실을 경찰이 운영하는 게 바람직하지 않다며 시민사회가 운영을 맡아 인권기념관으로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해 왔다.

남영동 대공분실은 2005년까지 보안분실로 사용되다가 2005년 10월 경찰청 인권센터로 바뀌었다. 경찰은 2008년 6월 4, 5층에 박종철기념관을 열고 일반인도 방문할 수 있게 했다. 박 열사 고문 치사사건의 현장인 대공분실 509호는 원형에 가깝게 남아 있다.

김남중 강준구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