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해성 통일부 차관을 단장으로 한 남북 공동연락사무소 추진단 관계자들이 8일 개성공단을 방문해 사무소 설치를 위한 시설 점검을 하고 돌아왔다. 남북은 4·27 정상회담과 지난 1일 고위급 회담을 통해 개성공단 내에 공동연락사무소를 설치하기로 합의했는데 이날 구체적인 첫걸음을 내디딘 것이다. 남측 인사들이 개성공단을 방문한 것은 2016년 2월 남북 관계 경색으로 공단이 전면 폐쇄된 지 2년4개월 만이다. 추진단 방문이 오랫동안 막혔던 남북 교류·협력의 물꼬가 터지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공동연락사무소는 남북의 당국자들이 상주하면서 각종 현안을 얼굴을 맞대고 수시로 협의할 수 있는 채널이라는 점에서 남북 간 신뢰 회복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사업이다. 판문점 직통전화와 팩스, 군 통신선, 정상 간 핫라인 등 통신 채널에 비해 밀도 높고 긴밀한 협의가 가능해 남북 관계 개선을 이끌어내는 촉매가 될 수 있다. 추진단은 개성공단 내 남북교류협력협의사무소와 개성공단 종합지원센터 등 연락사무소로 사용할 수 있는 공간들을 둘러보고 북측 관계자와도 의견을 교환했다. 남북은 공동연락사무소가 조속한 시일 내에 문을 열 수 있도록 긴밀히 협조하길 바란다.
공동연락사무소 개소가 개성공단 재가동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전망도 나돌고 있지만 성급한 기대다. 개성공단 재개는 유엔 대북 제제와 연계돼 있어 우리가 마음대로 결정할 사안이 아니다. 통일부도 “추진단 방북은 개성공단 재개와는 무관하다”고 선을 그었다. 공동연락사무소가 남북 교류·협력을 위한 긴밀할 소통 창구로서 제 역할을 하려면 북핵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 오는 12일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비핵화 관련 의미 있는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남북 교류·협력 사업에 제동이 걸릴 가능성이 높다. 공동연락사무소 개소 등 남북 간 합의사항을 차질 없이 이행해 나가야겠지만 너무 앞서 나가선 안 되는 이유다.
[사설] 공동연락사무소, 남북관계 개선 촉매 되길
입력 2018-06-09 05: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