폼페이오 13~14일 서울 베이징行… 북·미회담 후속조치 논의

입력 2018-06-08 18:54 수정 2018-06-08 21:29

6·12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 직후 한국과 미국, 일본이 회담 결과에 따른 후속조치 논의에 바로 착수한다.

마이크 폼페이오(사진) 미 국무장관은 7일(현지시간) 브리핑에서 “북한과의 정상회담 후 한·중·일 파트너들을 만나 협조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13∼14일 서울을 방문해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고노 다로 일본 외무상을 함께 만날 예정이다. 또 14일에는 중국 베이징에서 왕이 외교담당 국무위원 겸 외교부장에게 회담 결과를 설명하고 가시적인 비핵화 조치가 나올 때까지 대북 제재가 지속돼야 한다는 입장을 전달할 방침이다.

폼페이오 장관의 한·중·일 파트너들과의 연쇄 만남은 회담 결과를 설명하려는 취지도 있지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계속 강조해온 ‘한·중·일 주도의 대북 경제 지원’을 요청하기 위한 목적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와 백악관에서 공동기자회견을 가질 때도 “문재인 대통령과 아베 총리는 북한을 경제적으로 매우 크게 도울 것이라는 걸 나한테 강하게 얘기해 왔다. 중국도 도울 것”이라고 말했다.

외교장관 만남과 별도로 일본은 오는 12일을 전후해 야치 쇼타로 국가안전보장국장을 싱가포르에 파견하기로 했다고 아사히신문이 8일 보도했다. 야치 국장은 현지에서 미국 측 카운터파트인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을 만나 북·미 협상과 관련한 일본 측 입장을 전달할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일본은 가나스기 겐지 외무성 아시아대양주국장을 싱가포르에 보낼 방침이었지만 회담의 중요성을 감안, 급을 높여 야치 국장도 함께 보내기로 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야치 국장은 지난 6일 워싱턴에서 볼턴 보좌관을 만나 대북 정책을 조율했다. 야치 국장은 북한의 핵무기는 물론 일본 열도가 잠재적 타깃일 수 있는 모든 대량살상무기 및 탄도미사일의 완전한 폐기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개진한 것으로 전해졌다.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wc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