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덜 해롭고 냄새도 없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전자담배는 최근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판매량은 지난해 4월 10만갑에 불과했지만 7월에는 960만갑이 됐고 10월에는 2070만갑까지 늘었다. 같은 기간 일반담배 판매량이 1억4600만갑 줄어든 것과 비교된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판매량은 9700만갑에 달한다. 지난해 5∼12월, 8개월 누적 판매량 7870만갑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다. 4월 기준 시장점유율은 예상(6%)을 넘어 9.4%까지 치솟았다. 그만큼 일반담배에서 전자담배로 갈아타는 애연가들이 많아졌다. 이는 일반담배보다 덜 유해하다는 제조회사들의 전략이 먹힌 측면이 있다. 이들은 전자담배의 유해성 논란이 이어질 때마다 “사실적 근거를 바탕으로 해야 한다”라고 강변했다. 하지만 이 주장은 더 이상 설득력을 얻지 못하게 됐다. 보건당국이 전자담배에 대해 “몸에 해롭기는 마찬가지”라는 과학적 결론을 국내 처음으로 내렸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지난해 8월부터 국내에서 시판되는 3개 전자담배 제품들을 대상으로 유해성분 11종을 분석한 결과 일반담배와 다름없는 양의 니코틴이 검출됐다고 7일 밝혔다. 오히려 타르는 일반담배보다 더 많이 검출됐고 벤젠과 포름알데히드 등 국제암연구소(IARC)가 규정한 1급 발암물질도 5개나 나왔다는 사실도 공개했다. 보건당국은 유해성 분석을 통해 “전자담배도 암 등 각종 질병을 일으킬 수 있다”라고 경고했다. 전자담배가 “일반담배보다 덜 유해하다는 근거는 없다”라고 한 세계보건기구(WHO), 미국 식품의약국(FDA) 등 외국 기관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다.
전자담배가 일반담배보다 저감효과가 없다는 사실이 입증된 이상 정부는 전자담배 업계의 반발로 그동안 미뤄왔거나 머뭇거렸던 각종 관련 규제 등을 과감히 추진할 필요가 있다. 전자담배에 부착하는 경고 그림 수준을 기존 주사기에서 혐오성을 강조한 사진 등으로 한층 높여야 한다. 미국처럼 제조회사들이 제품 출시하기 전에 성분 함유량과 유해물질을 분석한 결과를 제출하도록 하는 법안도 하루빨리 제정해야 할 것이다. 국민 건강을 위해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하고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마련하는 것은 정부와 국회의 몫이다.
[사설] 전자담배도 해롭기는 마찬가지라는 식약처 연구
입력 2018-06-08 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