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제63회 현충일인 6일 국립대전현충원을 찾아 천안함과 제2연평해전, 연평도 포격 도발 전사자 묘역에 참배했다. 문 대통령은 향후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 비무장지대(DMZ) 내의 유해를 발굴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천안함 46용사 묘역을 참배하고 문영욱 중사의 묘비 옆 화병에 조화를 꽂았다. 문 대통령은 사실상 무연고 상태인 문 중사의 묘지를 돌보며 “유족들 마음에는 다 같은 아들 같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인 지난해 3월 천안함 46용사 묘역을 찾아 참배한 적이 있다. 취임 후에는 이번이 첫 방문이다.
문 대통령은 추념사를 통해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 비무장지대의 유해 발굴을 우선 추진하겠다”며 “미군 등 해외 참전용사들의 유해도 함께 발굴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한국전쟁에서 전사한 군인과 경찰의 유해 발굴도 마지막 한 분까지 계속 해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무연고 묘역의 김기억 중사 묘소를 참배한 뒤 무명용사에 대한 국가 예우도 함께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김 중사는 스물둘의 청춘을 나라에 바쳤지만 세월이 흘러 연고 없는 무덤이 됐다”며 “모든 무연고 묘소를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기억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대한민국은 결코 그분들을 외롭게 두지 않을 것이다. 끝까지 기억하고 끝까지 돌보겠다”며 “그것이 국가에 헌신했던 믿음에 답하는 국가의 역할과 책무”라고 덧붙였다. 역대 대통령 가운데 무연고 묘지를 찾아 참배한 것은 문 대통령이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지난 3월 불의의 사고로 숨진 김신형 소방장과 김은영·문새미 소방사 묘역도 방문해 추모했다. 문 대통령 내외는 순직 소방관 세 명의 묘비를 덮고 있던 태극기를 유족들에게 전달했다.
국립대전현충원에서 현충일 추념식이 열린 것은 김대중 전 대통령이 참석했던 1999년 이후 19년 만이다. 독립유공자와 참전유공자, 군인 위주로 묘역이 조성된 국립서울현충원과 달리 대전현충원에는 의사상자·소방 및 순직 공무원들의 묘역이 마련돼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다양한 분야에서 나라를 위해 희생하고 헌신한 분들을 기리는 의미로 대전현충원을 추념식 장소로 정했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이 추념사에서 ‘이웃’이라는 단어를 아홉 번 언급한 것도 일상 속에서 이웃을 지켜낸 의인들을 기리기 위한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추념식은 ‘428030 대한민국의 이름으로 당신을 기억합니다’라는 주제로 진행됐다. 428030은 전국 10개 국립묘지에 안치된 안장자 수를 의미한다. 청와대는 이날 전국 국립묘지 10곳에 대통령 명의의 조화가 놓이도록 조치했다.
다만 대전현충원을 찾은 일부 참전용사들은 국가유공자에 대한 정부의 예우가 여전히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6·25 참전용사 박한혁(85)씨는 “참전용사들은 대부분 80대 중후반이라 참전수당을 50만원 이상 올려도 소용없다”며 “자식과 배우자에 대한 혜택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한편 문 대통령은 7일 하루 연가를 내고 휴식을 취하기로 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중·일, 한·미, 남북 정상회담 등으로 숨가쁘게 달려왔기 때문에 대통령이 하루 연가를 냈다. 예정된 휴가”라며 “다만 7일 기한인 드루킹 특검 임명은 차질 없이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세환 기자, 대전=전희진 기자 foryou@kmib.co.kr
文대통령, 무연고 묘역 찾아… “DMZ 유해 발굴 추진”
입력 2018-06-06 18:37 수정 2018-06-06 2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