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처음 종전선언을 언급한 이후 남·북·미 3자 정상 간 종전선언 도출을 위한 방정식이 점점 복잡해지고 있다.
청와대는 북·미 양측으로부터 아직까지 ‘초청장’을 받지 못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4일 “아직 종전선언을 위한 아무런 진전이 없다”며 “북·미 정상회담 합류를 위해 우리 정부가 본격적인 준비에 돌입한 상태는 아니다. 의제 등에 대한 북·미 간 협상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오는 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릴 예정인 북·미 정상회담에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하기 위해선 늦어도 이번 주 안에는 연락이 와야 한다. 한·미 양국은 국가안전보장회의(NSC) 라인을 통해 진행 상황을 긴밀히 공유하고 있지만 아직까지 종전선언을 위한 구체적인 움직임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일회성인 아닌 몇 차례의 북·미 정상회담이 필요하다고 밝힌 점을 고려하면 ‘싱가포르 종전선언’은 실현 가능성이 떨어지는 게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청와대는 ‘플랜B’로 판문점, 유엔총회 등에서 종전선언을 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하지만 북·미 정상회담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아직은 탁상공론에 불과한 형편이다.
정부 관계자는 “북·미 협상이 순조롭게 타결된다면 언제, 어디든 문 대통령이 합류해 종전선언 도출을 논의할 것”이라며 “하지만 북·미 간 협상이 얼마나 진전됐는지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싱가포르 북·미 정상회담에서 종전선언을 이루지 못할 경우 북·미 간 비핵화 후속 협상이 끝나야 종전선언 논의가 시작될 가능성도 있다. 3자 정상회담을 위한 일정 조율에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한편 청와대는 이날 문 대통령이 지방선거일인 13일이 아닌 8일에 사전투표를 한다고 밝혔다. 문 대통령의 싱가포르 방문 준비 차원이 아니냐는 관측이 나왔지만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싱가포르 상황과 무관하게 투표율 제고 차원에서 사전투표를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임종석 비서실장과 장하성 정책실장, 정의용 국가안보실장 등 청와대 참모들도 사전투표에 참여할 예정이다.
강준구 기자 eyes@kmib.co.kr
文 대통령, 8일 사전투표… 혹시 싱가포르행?
입력 2018-06-05 05: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