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헌(사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권의 채용 관행에 쓴소리를 던졌다. 국민 눈높이에 부합하기 위해 근본적인 개선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가계부채 관리 강화도 언급했다. 특히 윤 원장은 신용대출과 전세대출의 급증을 지목했다. 금융 당국의 전방위 압박으로 가계대출 급증세가 잦아들고 있지만 신용대출이나 전세대출로 ‘풍선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판단이다.
윤 원장은 4일 서울 여의도 금감원에서 6개 금융협회(은행연합회·생명보험협회·손해보험협회·금융투자협회·여신금융협회·저축은행중앙회) 수장들과 간담회를 갖고 “금융권은 많은 취업준비생에게 선망의 대상이다. 채용과정에서의 불공정 행위에 국민이 체감하는 실망감과 상대적 박탈감이 큰 것은 당연하다”고 지적했다. 지난달 8일 취임한 윤 원장이 금융업계를 대표하는 협회장들과 만나기는 처음이다. 최근 검찰이 KEB하나·KB국민·부산·대구·광주은행 등의 채용비리를 수사하면서 금융권 전반은 뒤숭숭한 상황이다.
윤 원장은 “과거에는 채용과정에서 고학력자와 남성을 우대하거나 임직원추천제도를 운영하는 행위가 받아들여졌을지 모르지만, 이제는 모두 떨쳐버리고 공정하고 투명한 새로운 금융권 채용문화 정착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은행권에서 마련한 채용절차 모범규준이 다른 금융업권으로 확산되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또한 윤 원장은 청년채용을 언급했다. 그는 “주요 선진국은 고용 상황이 호전되고 있으나 우리나라는 신규 채용이나 청년실업률 개선이 기대에 못 미치고 있다”며 “금융권이 생산적 금융의 확대를 통해 신규 채용 등으로 청년일자리 창출에 노력을 기울이는 것은 매우 시의적절하고 반가운 일”이라고 했다.
가계부채 관리 강화와 함께 적극적인 금융소비자 보호도 주문했다. 윤 원장은 “불완전판매 등 금융회사 영업 행태에 대한 불만과 민원이 여전한 것 같아 안타깝다”며 “불완전판매 여부를 평가에 반영하는 것을 포함해 소비자와 판매자 간 이해 상충이 발생하지 않는 방향으로 성과평가 및 보상체계 재설계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홍석호 기자 will@kmib.co.kr
윤석헌 “금융권 채용관행 근본적 개선 필요” 쓴소리
입력 2018-06-04 18: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