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뺀 G6 “관세 조치 우려” 공동성명

입력 2018-06-04 05:00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의가 미국의 관세부과 조치를 강하게 비판하는 공동성명을 채택하고 2일(현지시간) 폐막했다. 회의는 자유무역을 위협하는 미국에 대한 성토장이었다.

미국을 제외한 G6는 공동성명에서 “모든 국가가 미국의 관세부과 조치에 우려와 실망을 나타내고 있음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해 달라고 미 재무장관에게 요청했다”고 밝혔다. 성명은 미국의 조치에 대응하려면 ‘결연한 행동’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캐나다의 빌 모노 재무장관은 “미국의 관세 조치는 우리의 경제를 파괴하는 것”이라며 나머지 G6 국가들이 공동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브뤼노 르메르 프랑스 재무장관은 “G7 재무장관 회의가 G6+1(미국)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기자회견에서 G6의 의견을 이미 트럼프 대통령에게 전달했다면서도 “미국은 세계경제를 이끌어나가는 역할을 포기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무역확장법 232조’를 적용해 1일부터 유럽연합(EU), 캐나다, 멕시코 등에서 수입하는 철강 제품에 25%, 알루미늄 제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트위터에서 “만약 우리가 그 나라들의 상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는데, 그 나라들은 우리 상품에 25%, 50%, 심지어 100% 관세를 부과한다면 그것은 공정하지 않기 때문에 더는 참을 수 없다”고 철강 관세 부과를 정당화했다. 그는 “그것은 바보 같은 무역”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3차 미·중 무역협상과 관련, “만약 미국이 관세 추가 부과 등 무역 제재 조치를 시행할 경우 양측이 지금까지 달성한 모든 무역 성과(합의)는 무효화된다”고 경고했다. 신화통신은 류허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국무원 부총리가 윌버 로스 미 상무장관과 2∼3일 댜오위타이 영빈관에서 협상을 진행했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양측은 이번 회동에서 실천과 농업·에너지 등 여러 분야에서 구체적인 진전을 이뤄 세부 사항에 대해 양측의 최종 확인을 기다리고 있다고 통신은 전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워싱턴=전석운 특파원 schro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