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 경영난 등에 따른 비자발적 퇴직자가 올해 들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고용행정통계에 따르면 올 1∼4월 사업주가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상실을 신고하면서 ‘경영상 필요 및 회사 불황으로 인원 감축 등에 의한 퇴사(해고·권고사직·명예퇴직 포함)’라고 사유를 밝힌 인원은 32만75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1% 증가했다. 2015∼2017년 같은 기간 이 같은 사유로 고용보험 피보험 자격 상실 신고자는 30만명대를 유지했는데 올 들어 32만명대로 급증한 것이다.
고용보험 가입자가 직장을 그만둬 피보험 자격을 잃으면 사업주는 이를 근로복지공단에 신고하고, 근로자의 이직 사유를 경영상 필요 등 9가지 가운데 하나로 구분해 밝혀야 한다. 이직 사유는 크게 보면 근로자 개인 사정에 의한 자진 퇴사, 회사 사정으로 인한 이직, 근로자 귀책사유로 인한 이직, 정년이나 계약기간 만료 등에 의한 이직 등으로 구분된다.
세종=이성규 기자
경영난에 비자발적 퇴직 급증
입력 2018-06-04 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