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북·미 이은 3자 정상회담 통해 종전선언 이뤄지길

입력 2018-06-01 05:03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과 김영철 북한 노동당 부위원장이 30일(현지시간) 뉴욕에서 만찬회동을 가졌다. 짧지도 길지도 않은 90분 회동이다. 31일 공식 회담에 앞선 일종의 탐색전이다. 백악관은 북·미 정상회담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예정대로 열릴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두 사람의 뉴욕 담판을 통해 지난 24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의 취소 발표로 한때 위기에 빠졌던 북·미 회담의 윤곽이 드러날 것으로 보인다.

‘폼페이오-김영철’ 뉴욕 회담은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벌일 세기의 핵 담판 성공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리트머스 시험지다. 양측의 기싸움이 불가피해 마라톤 회담이 예상된다. 비핵화 정의와 방식, 검증 등에서 여전히 이견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미국의 판문점 협상팀 한국 체류 일정이 연장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비핵화 프로세스 시작점에서의 북한 보유 핵탄두 국외 반출 문제 등을 둘러싸곤 충돌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완전한 비핵화 로드맵이 만들어질 때까지 북·미 협상은 살얼음판 위에 서 있는 것이다.

두 사람에게 요구되는 것은 과감성과 유연성이다. 통 큰 양보를 통해 북한의 비핵화 조치와 이에 상응한 미국의 체제안전 보장에 대한 최대 공약수를 찾아내는데 진력해야 한다. 선언적 합의에 머물지 말고, 최대한의 세부 방안까지 논의하는 게 최선이다. 원론적 합의론 정상회담 이후 비핵화 프로세스의 순항을 담보할 수 없다. 양국 정상의 특명을 받은 두 사람이 빅딜의 큰 그림을 반드시 그려내길 기대한다.

남북한과 미국이 종전 문제를 논의하고 있는 점도 고무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9일 “북·미 회담 그 이상의 것을 위한 접촉들이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남·북·미 3자 정상회담 개최 가능성을 시사한 대목이다. 이는 종전선언과 맞물려 있다. 올해는 정전협정이 체결된 지 65년이 된다. 전쟁을 공식적으로 종결하지 않은 채 평화를 말하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종전 선언은 비핵화 이행 과정에서 북한에 안전 보장에 대한 믿음을 심어 주는 지렛대 역할을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추진해볼 가치가 충분하다. 남·북·미 3국 정상이 한자리에 모여 종전선언에 서명하는 역사적인 모습을 볼 수 있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