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과 중소기업 근로자의 임금격차가 더 벌어졌다. 정부의 소득주도성장 정책이 소득분배에 실패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고용노동부는 올해 1∼3월 상용근로자 5인 이상 사업체 근로자의 1인당 월평균 임금이 391만7000원으로 집계됐다고 30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8.1% 증가했다.
임금 증가는 주로 대기업 근로자에게 집중됐다. 300인 이상 사업체의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 총액은 629만2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16.2% 증가했다. 반면 300인 미만 사업체의 경우 335만8000원으로, 4.9% 오르는데 그쳤다.
정부는 기타운송장비제조업의 임금 협상 타결이 올해 초 집중적으로 이뤄지면서 임금 소급분이 지급된 점과 일부 산업의 성과급 지급을 이유로 든다. 하지만 성과급 지급이 집중되는 1분기를 기준으로 보면 지난해 1분기 임금증가율은 300인 이상, 300인 미만이 각각 -0.7%, 4.5%였다.
김동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간부회의를 열고 “저소득층의 소득 향상과 분배 개선을 위해서는 경제 전반의 활력을 북돋을 수 있는 혁신성장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또 “사업의 효과가 최종 수요자에게까지 제대로 가고 있는지 재정집행 효과를 위해 질적인 측면도 신경 써 달라”고 지시했다.
세종=정현수 기자
[소득·지출 양극화 2제] 대기업 임금 16.2% 오를 때 中企는 4.9%↑
입력 2018-05-30 18:24 수정 2018-05-30 21: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