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노조 와해시키려… 삼성전자서비스-경총 ‘회비 명목 리베이트’ 의혹

입력 2018-05-29 18:56 수정 2018-05-29 21:59

檢, 경총 ‘리베이트’ 문건 확보… 박상범 전 대표이사 영장 청구
삼성·경총 ‘검은 거래’ 의혹 등 경총 자금 흐름 집중 추적 중
경총, 회원사 교섭권 위임받아 노조와 임금·단체교섭 진행


삼성전자서비스가 2013년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에 노조와의 협상을 맡기면서 협력업체들을 대거 회원사로 가입시키고 회비 명목으로 수억원대 자금을 전달한 정황이 드러났다. 회원사 유치 관련 리베이트를 언급한 경총 내부 문건도 압수수색을 통해 검찰에 확보됐다. 검찰은 ‘뒷거래’ 의혹을 규명하기 위해 경총 자금 흐름 추적에 들어갔다.

29일 재계와 노조 등에 따르면 2013년 9월 당시 50여개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업체가 경총에 회원사로 가입했다. 협력업체 한 곳당 회비는 연 250만원 수준으로 50곳이면 연 1억2500만원이다. 원청인 삼성전자서비스가 이미 경총 회원사인 상황에서 하청업체들이 별도로 회원 가입을 한 것을 이례적이다. 하청업체 소속인 서비스기사 노조 문제를 삼성전자서비스가 직접 대응하면 불법파견 논란이 불거질 수 있다는 판단도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경총은 이후 이들 업체로부터 교섭권을 위임받아 노조 측과 임금·단체 교섭을 진행했다.

검찰은 삼성전자서비스가 협력업체들의 경총 회비도 일괄 대납한 것으로 의심한다. 삼성전자서비스는 2011년 이후 납부하지 않던 자사 회비 등 수억원도 한꺼번에 경총에 지급한 것으로 파악됐다.

검찰은 앞서 경총 사무실 압수수색 과정에서 ‘리베이트 지급 기준’이라고 명시된 보고서도 확보해 분석 중이다. 이 보고서에는 신규 회원사를 유치한 경총 직원에게 첫 달 회비를 보상금으로 지급한다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사 50곳을 기준으로 하면 첫 달 회비는 1000만원이 넘는다. 검찰은 경총 스스로 ‘리베이트’라고 표현한 것에 주목하고 있다. 경총이 삼성전자서비스의 대리인 역할을 한 이면에 돈을 매개로 한 거래가 있었을 가능성도 열어두고 계좌추적 영장을 발부받아 경총의 자금 흐름을 분석하고 있다. 경총 관계자는 “2013년 당시 삼성전자서비스 협력사들의 가입과 관련해 지급된 인센티브는 없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검찰은 노조 대응 조직인 ‘종합상황실’을 만들어 노조 활동을 방해하는 이른바 ‘그린화 작업’을 주도한 혐의(노동조합 및 노동관계 조정법 위반) 등으로 박상범 전 삼성전자서비스 대표이사의 구속영장을 청구했다.

황인호 조민영 기자 inhovato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