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미 정상회담이 취소되려다 재개되는 과정에서 대화의 틀이 미국 한국 북한 3자 구도로 바뀌자 중국이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중국 매체들은 한반도의 중대한 결정에서 중국이 빠져서는 안 된다며 다시 ‘차이나 패싱(중국 배제)’ 차단에 애를 썼다.
중국 관영 환구시보와 글로벌타임스는 29일 ‘한·미는 중국을 경시하거나 탓하지 말아야 한다’는 제하의 공동 사설에서 한반도 문제에서 중국의 영향력을 강조했다.
이들 매체는 “한반도 정세가 요동친 뒤 북·미 정상회담 개최로 가닥을 잡았는데 이 과정에서 떠도는 ‘중국 배후론’이나 ‘차이나 패싱론’ 등 이상한 소문은 이제 정리될 때”라고 지적했다. 이어 “휴전협정 체결국인 중국이 종전선언 협상에서 빠져야 한다는 등의 중국 역할 배제론이 다시 부상하는 것은 우스운 일”이라며 “중국이 들러리 역할만 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중국은 역사적, 현실적으로 중요한 추진력을 가진 대국”이라고 강조했다.
정지융 푸단대 한반도 연구센터 주임도 글로벌타임스에 “중국은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에 필수적인 존재이며 종전 협상에서 중국의 개입이 미·중 갈등을 불러일으킨다는 주장은 잘못”이라고 강조했다.
베이징 소식통은 “중국은 북한과 두 차례 정상회담을 통해 한반도 문제에서 주도권을 잡는 듯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판을 단숨에 뒤집고 중국을 배제하는 3자 구도로 재조정하자 당혹스러울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징=노석철 특파원
당혹스런 中 ‘패싱론 불끄기’… 관영매체 집중 보도
입력 2018-05-29 21:01